[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대구 군부대 유치를 염원하는 경북 영천시민들의 열기가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 곳곳에서 캠페인이 줄을 잇고 대규모 행사는 물론 삼삼오오 모이면 어디서나 군부대 유치에 지역이 똘똘 뭉쳐야 한다는 분위기다. 영천시는 지난해 대구 도심의 군부대를 경북지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에 적극 찬성하며 유치운동에 뛰어들었다. 어느 지자체보다 인구증가 정책에 집중해왔던 영천은 군부대 유치로 인구문제를 해결하고 지역발전을 이뤄내겠다는 각오다.
이전될 군부대는 육군 예하 제2작전사령부·제50보병사단·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와 미군 부대인 캠프워커·캠프헨리·캠프조지 등 7곳이다. 대구시와 국방부는 각 부대를 통합해 주거·교육·문화·복지 시설 등을 갖춘 ‘밀리터리 타운’을 조성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국군은 2030년까지, 미군 3개 캠프는 2035년까지 이전을 완료하며 2만~3만의 인구가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시는 최근 국방부와 육군본부에서 영천을 비롯한 5개 지자체가 제출한 후보지의 작전성 검토를 면밀히 수행할 예정이며, 군사시설 이전은 군인과 군인 가족의 정주여건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을 중점으로 추진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영천시는 임고면 매호리 360만 평에 국군 4개 부대를 이전하고, 인근 금노동(18만 평)에 민·군 상생 복합타운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별도로 미군 3개 캠프는 고경면의 육군3사관학교 맞은편 농지를 후보지로 제시했다. 도시와 인접한 평지에다 현재의 미군 부대 33만 평과 규모도 비슷하고 공장과 민가가 적다. 부대 작전시설 이전에는 용지비와 공사비 등 1조6250억 원, 복합타운 조성에는 6045억 원이 소요돼 총사업비는 2조23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무엇보다 경주·포항·울산과 인접해 지상뿐만 아니라 유사시 해상을 통한 차별화된 작전이 가능한 지역이다. 부지 또한 넓고 경쟁 지자체보다 소유자가 적으면서 저렴해 보상절차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 중앙선 복선 전철과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영천 연장, 고속도로 등 사통팔달의 교통 요지이다. 기존 육군3사관학교와 탄약창, 공병부대 등이 들어서 영천은 이미 군사도시로 입증됐다. 인근에 대학이 밀집해 있고 지역에는 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가 있어 교육여건도 우수하다. 착공에 들어간 경마장과 대학병원, 친환경 농산물도 한몫한다. 역사적으로는 조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과 맞먹는 육지전으로 기억되는 영천성 수복전투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다. 일제강점기 산남의진 의병 활동, 6·25전쟁 영천대첩까지 호국 도시의 위상을 이어왔다. 영천은 지난해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100여 명으로 유치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사무실을 개소했다. 이어 적정후보지 용역과 호국 도시 군사역사 포럼을 개최하며 의지를 다졌다. 또 지난달 설 연휴에 팔공산 갓바위에서 은해사 주지 덕조스님이 주관한 민관 한마음 기원행사를 열었다. 최기문 시장과 이만희 국회의원, 하기태 시의장, 박봉규·정서진 공동추진위원장, 시도의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108배로 성공을 빌었다. 최근에는 정월대보름 유치기원 행사를 비롯해 각 단체가 지지선언에 나서고 있으며, 민원실 군복 입고 근무하기 등 다양한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최기문 시장은 “국방부와 대구시가 원하는 작전성,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준비된 도시”라며 “시민들의 단결된 힘으로 신성장 동력이 될 대구 군부대를 반드시 유치해 인구 유입과 지역발전을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