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는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와 기관유형별 등급을 발표했다. 청렴이란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음을 뜻한다.
권익위는 기존 청렴도 측정과 부패방지 시책평가를 통합한 새로운 종합청렴도 평가체계를 수립해 지난해부터 적용했다. 종합청렴도 점수는 ‘청렴체감도’ 60%와 ‘청렴노력도’ 40%의 비중으로 가중 합산하고 ‘부패실태’는 감점하는 방식으로 산정해 최상위 등급인 1등급부터 최하위 등급인 5등급까지 총 5등급으로 나눈다.평가 대상은 공직유관단체, 기초자치단체,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 등 569곳으로 올해 처음 적용된 기준인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 부패실태를 평가·종합해 총점을 산정했다고 한다.중앙행정기관 중 5등급은 없었지만 검찰청, 경찰청, 외교부 등 논란의 대상이 된 기관들이 모두 4등급을 받았다.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여성가족부 등도 4등급에 머물렀다. 법무부는 중간인 3등급으로 평가됐다.광역자치단체 중에서 1등급을 받은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광주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 등 5곳만 2등급을 받는 데 그쳤다.경북도는 상위권에 들었지만 대구시는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북·대구 기초자치단체 중 경주시와 대구 북구가 최상위권인 1등급을 받았지만 문경시·봉화군·울릉군·울진군은 5등급의 불명예를 얻었다.이번에 평가한 대상은 총 569개의 기관·단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경북이 2등급, 대구가 4등급을 기록했으며 1등급을 받은 곳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경북도의 경우 지난 2020년 상위권인 2등급 달성한 이후 3년 연속 청렴도 상위권을 달성하게 됐다. 기초자치단체 시 부문에서는 경주시가 경북에서 유일하게 1등급을 받았다. 이는 지난 2021년(3등급) 평가보다 2단계 오른 수치다. 2등급은 포항시와 구미시, 3등급은 경산시·김천시·안동시·영주시·영천시, 4등급은 상주시가 각각 받았으며, 문경시는 5등급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전국 17개 교육청 중에서는 대구교육청이 2등급, 경북교육청은 3등급에 포함됐다. 경북경찰청과 대구경찰청은 2등급에 평가됐다. 청렴도 평가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상주시와 문경시는 문제점을 조속히 파악하여 시설개선 및 편의시설 확충은 물론 자체 민원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직장보수교육을 통해 민원 처리기간을 최대한 단축해야 한다. 아울러 상습적인 민원은 설득력 있는 근거 등을 제시하여 민원종결 유도 등 평시 관련업무와 연계하여 청렴도 향상을 위한 개선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