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최근 일본 외교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 망언에 대해 25일 김병욱 국회의원(국민의힘)이 강력하게 규탄했다.이날 김 의원은 성명서를 통해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영토"라며 "망언을 일삼는 철면피 일본 앞에서, 너무도 당연한 우리 땅 독도를 마음으로 우리 땅이라 여기고 입으로 우리 땅이라 외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독도에 대한 우리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본은 독도 관련 교과서 뿐만 아니라 과자‧술, 자판기, 캐릭터 등을 통해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주장을 일본인의 생활 속에서 주입하고 있다. 김 의원은 "우리야말로 독도가 우리 땅임을 온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하도록 독도에 대한 물리적‧심적 거리를 좁혀야 한다"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생활 속에서 독도를 쉽게 접하고, 언제든 독도에 방문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실은 방문조차 쉽지 않다. 독도 입도가 가능한 날은 연간 150여 일에 불과하다. 접안시설 등 입도하기 매우 열악한 환경 때문이다. 울릉도에 입도한 방문객의 대다수가 독도 방문을 희망하지만, 독도의 열악한 입도 환경으로 인해 수많은 관광객이 발걸음을 아쉽게 돌리고 있다. 울릉도에서 독도로 가는 여객선은 수가 부족하고 시설도 낡고 오래됐다.    독도 접안시설인 ‘독도 방파제’ 건설은 2012년 실시설계용역까지 완료했으나, 일본과의 외교적 마찰 우려와 안전‧환경 문제로 중단됐다. 독도 방문객이 울릉도에서 머무를 수 있는 숙박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국민이 더 많이 독도를 밟을 수 있도록, 교통과 숙박 문제 해결에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의 초‧중‧고 학생이라면 성인이 되기 전 적어도 1회 이상 반드시 독도에 방문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와 교육청이 울릉군 내 폐교부지 등을 활용해 학생들을 수용할 수련관을 확보하는 데 재정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울릉도의 부족한 숙박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관련 규제를 해소하는 등 제도를 정비하고, 난개발 방지를 위해 울릉군 발전 종합계획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독도가 더 이상 노래 가사 속에서만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면서 "명명백백한 우리 땅인 독도에 실제로 가 본 국민이 많아질수록, 독도에 대한 우리의 실효적 지배력은 더 확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