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남성 위암 환자가 잠을 충분히 자면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암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한 남성 중 수면시간이 하루 5시간 미만인 비율은 6%대에 불과했다. 1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이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유인선 교수팀은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6365명을 대상으로 위암 생존과 수면시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유 교수팀은 위암 생존자와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을 비교해 5시간 미만의 수면이 위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위암 생존자(조사 당시 생존)는 조사한 성인 남성(7193명) 중 77명, 성인 여성(9172명) 중 46명이었다. 위암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한 남성은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남성보다 5시간 미만 잠잘 가능성이 62% 적었다.전체 위암 생존 남성(77명) 가운데 하루 수면 시간이 5시간 미만인 사람은 6.4%(5명)에 불과했다. 이는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의 수면 부족 비율(11.5%)의 절반 수준이다. 반면 위암 진단을 받았음에도 생존한 여성과 위암 진단을 받지 않은 여성은 수면이 부족한 비율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유 교수팀은 “위암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한 남성의 경우 수면시간이 부족한 경우가 적었지만, 여성에선 위암 생존과 수면시간과 연관성이 없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밝혔다.잠이 부족하면 위 점막이 손상되고 위산 분비가 늘어 위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암 발생을 억제하고 면역을 증진시키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도 억제한다.유 교수팀은 “암 환자의 수면시간은 기분과 전반적인 건강, 삶의 질,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며 “유방암 생존자의 수면시간이 유방암이 없는 여성보다 짧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