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2022년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여성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20.1%(520만명)로 처음 20%를 넘었다. 65세 이상 남성은 15.9%(407만명)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을 합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27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를 넘었다. 조만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인구의 노령화 현상은 현대 문명의 산물이고, 인류가 이제껏 경험해 보지 않았던 새로운 현상이며, 개개 국가 차원을 넘어선 전 인류의 문제이다. 당장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고 어떻게 이에 대처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수명은 길어졌지만 경제적 생산력이 떨어지거나 없어지기 때문에 노령 인구의 생계와 복지를 사회적으로 어떻게 감당하느냐가 커다란 문제로 등장할 수밖에 없다. 단순 생존에 필요한 의식주는 물론이고, 신체의 노화에 따라 증가되는 의료 서비스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의 제공 등 노인들의 삶의 질을 확보하는 것들이 주요 문제일 것이다.초고령사회가 되면 기초연금 예산, 지하철 무임승차 요금 등 각종 사회복지 비용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저출산으로 생산 가능 인구는 감소하는데 부양해야 하는 인구는 늘어나 재정 압박이 커지고 경제 활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이번 조사에서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전남(65세 이상 25%), 경북(24%), 전북(23%), 강원(23%), 부산(21%)에 이어 충남(21%)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19.9%)과 경남(19.5%)도 내년에 초고령사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군(郡) 지역은 전국 82개 군 중 76곳(93%)이 이미 초고령사회다.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부모에 대한 효나 어른(노인)에 대한 공경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 ‘고령 사회’의 문제점이나 그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는 안이하게 생각하고 대처하는 경향이 많았다. 또 노인들의 부양과 복지와 같은 문제들이 대체로 개인적 차원으로 취급되어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금까지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노인 혹은 노령 인구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바꿔 말하면, 지금까지는 개인적 차원에서 무마되었던 것들이 더 이상 개인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압력으로 등장할 것이다. 이제는 정부가 노인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부의 한시적인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이 아니라 노인들의 소득보충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독일, 프랑스 등처럼 일자리 창출 외에도 면세와 사회 보험료를 적극 지원하거나 미국의 SCSEP(고령자 지역사회 서비스 프로그램)처럼 훈련·고용서비스를 강화해 고령자들의 사회참여와 일반 민간 노동시장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조속한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