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백한철기자]“새로 시작한다는 각오로 실질적인 성과가 나오도록 로드맵을 재점검하고 혁신을 주도해 안동 신성장 이끄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돼 달라”권기창 안동시장이 바이오 백신, 헴프 산업 등 안동 신성장동력사업 현장에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비상한 각오와 다짐을 전했다.권 시장이 먼저 찾은 곳은, 임하면 소재 산업용 헴프 재배 실증 관련 사업장인 ㈜농부심보의 헴프 재배현장이었다. 노수향 ㈜농부심보 대표의 대마 재배과정에 대한 설명과 함께 현장의 애로사항을 경청했다. 이후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을 방문해 한진관 연구원장, 최웅 사무처장, 최정두 사업추진단장을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또한, 안선미 ㈜유한건강생활 박사를 통해 ㈜유한건강생활의 헴프 제조·수출 실증 사업장도 현장 점검했다.권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산업이 급부상하고 헴프 규제 완화 추세가 진행되는 호기를 맞아, 도전과 혁신을 마중물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기회를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다시 한번 신발끈을 조여 매자”라고 강조했다.이후, 권 시장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를 방문해 장양석 센터장의 안내로 GMP 시설과 장비를 시찰하며 애로사항과 향후 발전계획을 공유했다.시는 올해 백신·바이오 헴프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하기 좋은 투자기반을 확충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350억원(국비200)을 들여 민간이 개발을 기피 하는 백신을 국가 주도 R&D로 생산하는 신기술 백신 공정기술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또한,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으로 백신산업을 지역 특화해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바이오·백신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창업 및 벤처 기업 입주공간인 공공형 기업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또한, 백신산업 인적 네트워크 구축 및 클러스터 고도화를 위한 국제백신산업육성포럼을 올 하반기 개최할 예정이다.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지난해에 이어 (비)임상시제품 생산 및 지원을 더욱 확대하고 백신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백신전문인력 육성지원센터도 구축한다. 경북 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 사업은 2022 우수특구 선정에 힘입어 실증특례 연장으로 특구사업자들의 중단없는 R&D사업 추진 및 전주기 이력관리를 통한 보안관리를 추진한다.바이오·백신 산업의 메카의 미래 초석도 다진다. 연간 2천명 이상의 글로벌 바이오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전문 훈련기관인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또한, 국가산업단지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여 안동이 바이오생명산업 거점도시로 자립하는 기반도 마련한다.권기창 시장은 “백신·바이오 산업이 국가전략산업이자 블루오션 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올해 안동은 신성장동력산업의 혁신을 통해 안동발전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 기업과 기관들의 연구·생산 활동 지원에 이어 입주공간 마련, 전문가 양성,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활성화 등 전주기 지원 체계를 만들어 기업이 태동하고 산업이 융성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백신·바이오 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겠다”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