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가 일상회복 후 맞는 첫 설 명절을 앞두고, 안전하고 편안한 설 연휴 만들기에 총력을 다한다.대구시는 ‘2023년 설 연휴 종합대책’을 마련, 12일~오는 27일까지 △걱정없는 ‘시민안전’을 최우선으로 △부담없는 ‘민생안정’, △불편없는 ‘시민편의’, △소외없는 ‘온기나눔’ 4대 분야, 17개 세부 대책을 추진한다.분야별 주요 대책으로 첫 번째, 재난‧재해와 감염병에 대비,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민 걱정을 없앤다.24시간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해 불시 상황에 대비하고, 자연재해 위험지역과 다중집합시설 등 580여 곳 안전 점검에 적극 나선다. 쪽방촌, 고시원 등 화재 취약 현장 안전 점검과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을 강화하고, 기간 중 특별경계근무와 산불방지 비상근무를 실시해 화재사고에 대비한다.복지관 등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비상방역상황반도 운영해 감염병 확산을 막는다.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 연휴기간에 운영하는 원스톱진료기관을 180여 개소 확보하고, 선별진료소도 12개소 운영한다. 또 ‘연휴기간 문 여는 병‧의원, 약국’을 120달구벌 콜센터와 대구시 누리집, 중앙응급의료센터 누리집과 응급의료정보제공 모바일앱을 통해 안내한다. 시민들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설 성수식품 수거‧검사를 실시하고 농‧축‧수산물 특별단속으로 원산지 표시 위반, 냉동육의 냉장 둔갑 판매, 유통기한 경과 여부 등을 점검한다.두 번째, 물가 관리 등 민생안정 대책으로 시민 부담을 없앤다. 물가대책상황실을 운영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24곳의 33개 성수품 가격 동향을 매일 관리하고, 오는 31일까지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 판매, 14일~24일까지 전통시장 주변도로 24곳의 주차 허용을 통해 지역 소비를 활성화한다. 자금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는 400억원 규모의 특별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고, 고용노동청과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임금체불도 방지한다.세 번째, 교통‧생활 쓰레기 특별대책으로 시민 불편을 없앤다. 연휴기간 중 매일 38명, 총 181명이 교통종합상황실 특별 근무에 나서 혼잡 예상 116곳을 집중 관리해 교통체증에 대비하고, 공공기관 등 총 650여 곳의 3만7천여 주차면을 무료로 개방한다. 오는 22일 설 당일을 제외하고 공공 폐기물처리시설을 정상 운영하고, 스티로폼 파쇄기 등을 활용해 명절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또 12일~31일까지 ‘올바른 포장재 분리배출 홍보 이벤트’도 연다.네 번째, 취약계층 지원과 온기 나눔으로 사각지대 소외를 없앤다. 저소득, 쪽방생활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 1만3300여 명에게 6억6500만원 상당을 지원하고, 결식 우려가 있는 1만3천여 아동의 급식도 돕는다. 지난 10일을 시작으로 오는 19일까지 집중 자원봉사 주간으로 정해 부서, 기관별 자원봉사 등 나눔도 실천한다.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설은 일상회복 후 맞는 3년만의 명절이어서 이동인원이 대폭 늘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설 명절을 보내실 수 있도록 종합대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