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의 대표적인 청정지역이 북구 죽장면이다. 시청에서 북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산간오지로 포항시, 영천시, 청송군, 영덕군의 4개면이 인접해 있다. 전체 면적의 약 90%가 임야로 가사천, 자호천, 현내천, 하옥계곡 등 전 지역의 자연경관이 수려한 청정계곡으로 피서 행락객들이 많이 찾는 지역이다. 최근 이 지역에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및 종합장사시설, 생활쓰레기매립소각장 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주민의견이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신청됐다는 사실이 드러나 지역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지난 11일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 포항시농민회와 죽장면 가사리 이장, 매현2리 이장 등이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죽장면 이장협의회에서 23개 마을 이장이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등 3개 시설에 대해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실이 아니다. 어떤 공론화 절차도 없이 몇몇 사람들이 나서서 유치신청을 했을 뿐이다”며 “누가 어떤 목적으로 주민들의 안위를 좌우하는 일에 주민의견 수렴도 없이 일을 추진했는지 진실을 밝혀라. 주민동의 없는 유치 신청은 전면 무효다”고 밝혔다.이어 “인구가 적다는 이유로 오지마을에 대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을 유치하는 것은 가혹한 일이다, 아무리 좋은 시설이라 해도 주민 동의가 전제돼야 하고,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우리는 이 일을 결코 묵과할 수 없다. 주민수용성이 중요한 사업에 주민동의 없이 일부에서 무리하게 추진한 사실이 드러났으므로 시는 죽장면의 유치 신청서를 즉각 반려하라”고 주장했다.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신청과정에서 장사시설 등 여러 혐오시설을 대거 유치하겠다는 것은 예정부지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에게 특혜를 줄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혐오시설이자 기피시설로 인식하는 각종 처리시설들을 모두 수용하겠다는 무리수를 둔 것은 해당 부지의 땅 주인이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추진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강조했다. 의혹에 이어, 청정지역에 느닷없이 혐오시설 3개씩이나 유치신청을 한 것을 두고 주민을 대표하는 지도자의 책임론까지 일고 있다. 농민단체 등은 “우리는 지역사회의 모든 일을 총괄하는 죽장면장과 개발자문위원회, 이장협의회가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주민의 뜻을 헤아리지 못하는 지도자는 필요 없다. 죽장면장은 공식 사과하고 죽장면을 떠나라. 개발자문위원장과 이장협의회장은 사과하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장사시설·쓰레기소각장·하수처리장 등 공공시설들이 혐오·기피시설로 주민들에게 인식되면서 전국의 지자체 모두가 곤란을 겪고 있다. 지역 주민들이 결사반대를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지자체 역시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조차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주민여론을 무시하고 공공시설을 유치 신청한 것은 주민과 갈등만 증폭시킬 뿐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민들의 갈등을 없애고 원활하게 마무리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