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이른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곳은 `경북`이었다.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2021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에 따르면 부산의 지수는 64.1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는 전년(61.2점)보다 2.9점 오른 것이다.일·생활 균형 지수는 일과 생활, 제도,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를 산출한 점수다. 201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2021년 전국 평균은 54.7점으로 전년(53.4점)보다 소폭 상승했다.부산에 이어 일·생활 균형 지수가 높은 지역은 서울(62.0점), 세종(60.8점), 대전(60.3점), 경남(58.1점) 등의 순이었다. 서울은 2020년 1위를 차지한 바 있으나 부산에 자리를 내줬다.1위인 부산은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가 잘 되고 있고, 일·생활 균형을 담당하는 조직과 조례가 뒷받침되고 있는 등 지자체 관심도 영역(13.9점)에서 전국 평균(8.8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은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비율이 가장 높았고, 육아휴직 사용이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사업장 비율도 다른 지자체보다 높아 제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세종의 경우 초등 돌봄교실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 비율, 지역사회 가족문화 관련 시설 현황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는 평가다.반면 경북(47.3점)은 전국 시·도 중에서 일·생활 균형 지수가 가장 낮았고 울산(47.3점), 강원(48.9점) 등도 뒤를 이었다.2020년과 비교해 변화된 정도를 살펴보면 대체로 비슷한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대전(10위→4위), 경남(9위→5위)은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울산(7위→16위), 제주(3위→9위)는 하락이 컸다.고용부는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각 시·도에 송부하고,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한 지역 차원의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다.임영미 고용부 고용지원정책관은 "근로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유인할 수 있는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해 각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