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2000년 하반기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타지역 업체에 맡긴 뒤 업체에 지급하는 처리비가 2배로 늘어났다. 시민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 계량 장비를 통해 버린 양만큼 비용을 내면 시는 이를 세외수입으로 잡는다. 시는 처리업체와 따로 계약해 무게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비를 지급한다.음식물쓰레기 처리비가 증가한 이유는 처리업체가 타지역 업체로 바뀐 것이 원인이다. 현재 포항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외부로 위탁하다 보니 운송비 등이 추가돼 비용이 늘어난 것이다.최근 포항시가 신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입지 후보지 공모에 5개 지역이 신청했다. 신청지역은 남구의 장흥동(제철동)과 동해면 발산리, 북구의 청하면 상대리, 죽장면 침곡리, 흥해읍 흥안리 5개소이다. 하지만 일부 마을에서는 신규 입지 후보지 공모 신청과정에서 주민대표성을 무시한 채 졸속으로 추진됐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죽장면의 경우 공모신청 과정에서 이장협의회와 개발자문위원회의 찬성으로만 이루어져 정작 반영돼야 할 대다수의 주민 의견은 수렴되지 않았다고 한다. 죽장면민들은 “죽장면의 인구수는 2천750명에 달한다. 하지만 이장협의회와 개발자문위원 수십명 명이 주민의견을 제대로 물어보지 않고 유치에 찬성한 것은 수박겉핥기식 지원이다”며 반발하고 있다.한국농업후계경영인 포항시 죽장지회는 “죽장면민을 무시하고 청정지역에 혐오시설 3개 유치에 동의한 이장협의회는 전원 사퇴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죽장면장은 “23개 마을 이장협의회에서 100% 유치 찬성을 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죽장면은 청정지역이지만 오래전부터 지역 소멸 위기에 처할 만큼 개발이 후퇴해 있어 지역발전 차원에서 음식물 처리시설뿐만 아니라 추모공원(종합장사시설), 자원순환종합타운(쓰레기 매립 및 소각시설)등 3개 시설을 동시에 유치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했다.그러나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신규 부지 선정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 부지 선정 위원회 구성, 이를 위해 11-15명의 위원을 선정해야 한다. 시는 1월중 주민대표와 관련 전문가, 시의원들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지역 여건, 환경성, 경제성, 주민 수용성 등의 세부 평가항목과 항목별 배점 기준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입지타당성 조사를 시행해 상반기 중 최종 후보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지금은 음식물폐기물 위탁처리 대행업체가 충북 청주에 있어 운반해야 하는 비용만 연간 25억원에 달한다. 시민 혈세가 그대로 낭비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사정이 아무리 급해도 주민의사가 반영된 공정하고 투명한 입지 선정 절차를 무시하면 안 된다. 시는 주민설명회를 거쳐 주민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