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 조선시대 외교문서를 담당했던 관청 `사자관청(寫字官廳)`에 관한 기록이 처음으로 한글로 번역돼 공개됐다. 사자관청은 조선시대 승문원(承文院) 소속 관청으로 외교문서를 담당했다. 이 관청에 소속된 사자관은 외교문서와 왕실 기록물을 작성했다.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그동안 관련 사료가 부족해 전체의 내용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사자관청 운영과 사자관의 활동이 기록된 `사자관청등록(寫字官廳謄錄)`을 최초로 번역한 `국역 사자관청등록`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사자관청등록은 국립고궁박물관이 2021년 입수한 국내 유일본으로, 고종 재임 기간 중 1877년부터 1882년까지 외교문서 작성을 맡았던 사자관청의 업무와 사자관의 활동을 담은 기초 사료다.기사 671개로 구성된 이 등록에는 조선 말기 6년간 사자관청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일들이 날짜별로 담겨 있다.   주요 내용은 사자관 직제, 수련 과정, 임명과 평가, 징벌 사항 등 사자관의 운영 관련 내용, 외교문서 및 왕실 기록물의 작성 등 사자관의 활동과 관련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이 기사들에는 사자관이 임관 전 해당 관청의 학문과 기술을 익히던 수련공간인 생도방에 들어가는 것부터 사망할 때 까지 기록되어 있다.이를 통해 사자관 개인별 인물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기술직 중인처럼 대대로 관직을 이어가며 친족으로 얽혀있던 사자관청 조직 문화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조선시대에 외교문서를 담당했던 사자관청과 왕실의 중요한 관원이었던 사자관에 대한 기록을 최초로 번역·공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으며, 향후 사자관청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발간된 책자는 국공립 도서관과 관련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문화재청 웹사이트와 국립고궁박물관 웹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