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영열기자]3일 중대선거구제를 놓고 여야 내부에서 갑론을박을 벌였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국회의장이 선거구제 개편을 의제로 나란히 꺼내들면서 중대선거구제가 새해 정국의 화두로 부상했다.국민의힘은 일단 윤 대통령이 띄운 화두인 만큼 적극적으로 나서 당론을 모으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당내에선 보수 텃밭인 영남권 의원들은 달가워하지 않는 반면 야당에 상대적으로 열세인 수도권 인사들은 긍정적인 분위기다.더불어민주당도 선거제 개편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대통령제 등 권력 개편을 포함한 개헌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당 내에선 친명계는 정치신인들의 진출이 어렵다는 이유로 거부감을 드러낸 반면 비명계는 중대선거구를 선호하고 있다. 비명계는 영남권에 포진한 친문들이 중대선거구제가 되면 대거 생환해 세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소선거구제 폐단들이 많이 지적되는 만큼 이제부터라도 활발하게 선거구 제도의 장단점을 치열하게 토론해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제도에 대한 합의에 이르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주 원내대표는 "우리 당은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위원들을 중심으로 1차 논의를 이어가고 필요하다면 정책 의원총회를 열어서 선거구제에 관한 의원들 의견이나 당 입장을 정하겠다"며 "그 사이에 선거구제 관해 활발한 연구와 토론을 해달라"고 주문했다.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인 김태호 의원은 "윤 대통령이 중대선거구제를 제안했는데 협치와 공존의 첫 단계로 대환영"이라며 "여야 의원들도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 대화를 해보면 지금의 유혈 스포츠식 정치 구조로 괴로워하고 있다"고 말했다.민주당은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에서 선거구제 관련 의제를 테이블에 올리지 않았다. 다만 김성환 정책위의장은 개헌을 전제로 한 정치 개혁 틀 안에서 선거구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원 개인별로도 선거제 개편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미묘한 시각차를 보였다.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표가 지난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할 때 `올 해가 선거가 없는 해이기 때문에 정기국회가 마무리되면 개헌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얘기한 걸 참고해달라"며 "우리당은 지난 대선 때 부터 일관되게 정치 개혁을 주장했다"고 말했다.김 의장은 "총리 국회추천제 등을 통해 현행 5년단임제 한계를 극복해나가면서 연동된 선거구제를 함께 개혁하자는 제안한을 바 있다"며 "전체적인 권력 개편을 포함한 개헌과 선거구제는 떨어져있지 않다"고 밝혔다.윤건영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갑자기 뜬금없이 왜 이러시나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솔직히 국민들은 중대선거구제에 대해 관심 없고 그 나물에 그 밥이라고 생각하지 않나. 국민적 공감과 충분한 공론화가 전제돼야 할 부분"이라고 비판했다.조응천 의원은 BBS 라디오 방송에서 "총선을 1년 앞두고 갑자기 중대선거구제로 룰이 변경되면 자신들한테 별로 유리할 게 없을 건 명백하지 않나"라며 "국회에서 논의가 지지부진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제도적으로 보완해나가면서 그쪽(중대선거구제)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