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감염병 자문위) 위원장이 백신에 대한 거부를 무단횡단에 비유하며 "가지 말아야 할 길을 가다가 문제가 생겼을 때 끝까지 (국가가) 책임을 져야 되느냐 문제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나아가 접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헌혈처럼 접종자에게 5000원~1만원 상당의 상품권 등을 지급하는 현금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백신 거부는) 횡단보도가 있는데 횡단보도로 건너지 않고 무단횡단을 하다가 교통사고가 난 것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그는 "좋은 백신과 치료제가 있는데도 끝까지 거부하고 중증에 이르러 병원에서 오랫동안 무료로 의료 혜택을 받는 것은 국가 정책과 완전히 반대로 움직여서 생긴 문제"라면서 "국가가 언제까지 그 분들한테 모든 걸 무상으로 제공해야 될 것인지 앞으로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백신과 치료제를 모두 무상으로 제공하는 현 정책에 대해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시사했다.정 위원장은 "모든 백신을 다 무료로 놔드리고 100만원 가까운 치료약과 그보다 더 비싼 면역 주사제를 다 무료로 제공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일반의료체계로 독감처럼 걸리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고 건강보험에서 필요한 만큼 보장을 받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정부의 코로나19 예방접종 독려 정책에 대해서는 미흡했다고 평가했다.정 위원장은 "국민 여러분께 코로나19 예방접종의 필요성 전달과 행정적 지원이 다소 미흡했던 것이 아니었나 생각한다"며 "개량백신 정보를 단순화 해 일반 국민들께서 선택의 혼란이 없도록 하고 이상반응 등 부작용에 대한 적극 대응, 국가 책임에 대한 홍보, 안내도 강화해 달라"고 정부에 권고했다.그는 65세 이상 독감 예방접종률은 80%를 넘어 코로나19 접종률(36.8%)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 데 대해 "독감 백신을 맞을 정도로 건강에 관심이 있다면 독감보다 훨씬 더 아프고 오래가며 치명률도 높은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않을 의학적인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정 위원장은 코로나19 예방접종자에게 5000원~1만원 상당의 상품권 등을 제공하는 식의 현금성 인센티브도 적극 검토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그는 "언론 등에 따르면 백신 1회분 당 가격이 선진국 기준으로는 3만~4만원 정도"라며 "헌혈처럼 예방접종 시 상품권 등을 지급해서 다소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국민들의 면역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정 위원장이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이 같은 인센티브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