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시가 뭐냐고나는 시인이 못됨으로 잘 모른다고 대답하였다.무교동과 종로와 명동과 남산과서울역 앞을 걸었다.저물녘 남대문 시장 안에서빈대떡을 먹을 때 생각나고 있었다.그런 사람들이엄청난 고생되어도순하고 명랑하고 맘 좋고 인정이있으므로 슬기롭게 사는 사람들이그런 사람들이이 세상에서 알파이고고귀한 인류이고영원한 광명이고다름 아닌 시인이라고.<수필가가 본 시의 세상>
시를 쓴다고 다 시인은 아닐 것이다. 시(詩)는 시(詩)다워야 시(詩)고 시(詩)를 쓰는 시인도 시인다워야 시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시(詩)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공감을 일으키고 품격(品格)이 있어야 회자 되듯이 시인 역시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시와 시인의 품격에 대한 어떠한 규정과 기준이 딱히 정해진 바가 없어 개념을 정리하는 데는 애매한 부분이 있긴하다.그러나 김종삼 시인은 나름의 기준을 정하셨다. ‘시인’의 기준을 ‘엄청난 고생되어도 순하고 명랑하고 맘 좋고 인정이 있으므로 슬기롭게 사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 이 세상에서 알파이고 고귀한 인류이고 영원한 광명이고 다름 아닌 시인이라’고 하셨다. 참으로 공감되어 공명을 외치게 한다.어느 누구에게나 다 좋을 수는 없으나 그래도 선하고 순한 심성의 사람들이 시인이면 좋겠다. 시인들 중에 다른 사람의 생각을 훔쳐 와서 변어(變語) 즉 표절하는 고묘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장’자리를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리는 사람이 있다는 소리도 들리고 ‘~상’을 받기 위해 심사위원들에게 평소 알고 있는 친분을 통한다는 소식도 듣는다. 참 아찔한 일이다. 그런 시인은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안가리는 정치패거리와 다를 바가 없지 않은가.인류 최후의 보루(堡壘)는 귀한 언어를 지키고 선한 마음을 일깨우는 시인을 포함한 문학인이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품는다. 시인도 어쩌면 나와 같은 마음이실 것만 같다. <박모니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