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치아뿌리를 만드는 세포와 단백질을 발견해 치아와 치주조직 치료의 가능성을 열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조의식 전북대 교수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베타카테닌 단백질이 치아뿌리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의 분화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치아의 초기 발생과 치아머리(치관) 형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뤄졌지만 치아뿌리(치근)의 형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과정이 알려지지 않았다.
조 교수팀은 치아의 단단한 조직인 상아질을 분비하는 세포인 상아모세포에 베타카테닌 단백질이 많다는 점에 착안해, 상아모세포가 분화되지 않으면 치아뿌리도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베타카테닌이 만들어지지 않는 유전자조작생쥐를 만들어 정상생쥐와 비교한 결과 유전자 조작생쥐는 치아뿌리가 형성되지 않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베타카테닌을 매개로 하는 신호가 없으면 상아모세포가 제대로 분화되지 않고 증식해 상아질을 만들지 못한다.
치아뿌리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발견은 향후 줄기세포로 만드는 인공치아인 `바이오 치아` 연구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조 교수는 "분화 중인 상아모세포와 베타카테닌 유전자의 역할을 밝힌 것은 치아·치주조직 재생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발견"이라며 "손상된 치아·치주조직에 대한 치료법과 바이오치아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