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자유`, `남침` 등 표현과 6·25 전쟁 관련 내용이 축약됐다는 논란이 있는 새 역사 교육과정 시안에 대해 교육부가 재차 "대국민 의견수렴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 시안에서 6·25 전쟁 내용이 축약됐다는 지적에 교육부는 학생들이 배우는 학습량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며 "빠짐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보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교육부는 1일 설명자료를 내 "2022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개정 교육과정 시안은 대국민 의견 수렴으로 검토, 보완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교육부는 새 초등학교 교육과정 시안과 관련 "현행 교육과정에 포함된 `대한민국 정부 수립`, `6·25 원인` 등을 학생들이 앞으로 빠짐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개정 교육과정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교육부에 따르면 최근 전문이 공개된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에는 `광복과 6·25 전쟁이 사회와 생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는 성취기준이 있다. `성취기준`은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을 명시한 교실에서의 수업 활동의 기준을 일컫는다.2018년 7월 개정된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5~6학년)에는 6·25 전쟁 관련 `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피해상과 영향을 탐구한다`는 성취기준이 있다.또 현행 교육과정에는 성취기준으로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의를 파악한다`가 있었다. 이 성취기준은 새 교육과정 시안에서 통합되며 삭제됐다.이에 대해 교육부는 "초등학교의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은 배정된 시수(주당 3시간)에 비해 학습량이 과다하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했다"며 "토의·토론 등 수업이 가능하도록 성취기준 수를 통합, 72개에서 49개로 적정화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추진했다"고 해명했다.또 "인물·문화사 중심이었던 현행 교육과정 역사 영역의 내용 구성방식을 탐구 중심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해 생활사 중심으로 전환했다"며 "서술 방식이 역사적 사실, 인물 등을 포함하는 방식에서 생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형식으로 바뀌었다"고 밝혔다.이번에 논란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시안(試案, 임시로 만든 계획)으로 확정안이 아니다. 교육부는 오는 13일까지 `국민참여소통채널` 홈페이지를 통해 새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