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함창고녕가야학술대회...9월3일 오후 2시 문경문화예술회관   함창고녕가야 선양회는 오는 9월 3일 오후 2시 문경문화예술회관 대강당에서 ‘제2회 함창고녕가야학술대회’를 연다. 학술발표자는, 이덕일 한가람역사연구소장, 가야문화진흥원 이사장 도명스님, 이용중 가야사 정립연대 대표, 고녕가야선양회 지정스님 등이다. 제1회 학술대회는 지난해 8월 함창읍사무소 회의실에서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사연구소 주관으로 열렸으며 이번이 두번째다.학술대회 취지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에 기록돼 있는 함창고녕가야 역사를 바로알기 위함이다. “사서에 엄연히 기록돼 있고, 유물유적이 넘쳐나는데도, 지금까지 함창고녕가야는 악마들의 발굽에 밟혀 신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고녕가야선양회 지정스님은 말한다. 또한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조선사를 편수하면서, 임나일본부 논리를 정립하려고, 의도적으로 함창고녕가야를 삭제시켰다”고 고녕가야 선양회는 주장하고 있다. 임나일본부는, 메이지유신 이래 조선을 정벌해야 일본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하는 정한론의 기본골격이다. 일본서기를 저본으로 AD4~6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는데, 그 이름이 임나며 임나는 곧 가야라는 것이다. 그런데 “함창고녕가야는 한반도 중부에 있으므로, 한반도 남부를 가정한 임나일본부 논리를 허물 수 있으므로, 가야의 역사에서 제외시켰다”는 고녕가야선양회 측의 주장이다.현재 함창일대는 600여 기의 고분이 도굴상태로 방치돼 있고, 왕릉, 왕비릉, 공갈못, 머리메조상돌, 옥려봉, 성혈석, 남산고성, 가야진, 가야정 등 문화유적이 전해온다. “병풍산에는 1500여 기의 고분이 도굴된 채 방채돼 있으며, 이 또한 고녕가야를 부정하려는 세력들의 의도된 방치”라고 고녕가야선양회는 주장하고 있다.일본은 한국을 병탄하면서 우리 고대사를 저들의 제후국 역사로 둔갑시켰다고 한다. 일례로 고조선의 강역을 중국 하북성에서 아무런 근거도 없이 현재 북한의 평양으로 축소시켰다. 또한 한국의 남부지방을 일본이 고대에 식민지로 지배했다고 날조했다. 그래서 일본은 한반도 남부의 도시이름을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30여 개의 지명을 마음대로 정해서 배치했다. 안타까운 것은 현재까지 그들의 역사관이 한국에 통용되고 있다는 현실이다. 지금까지 일제 강점기 일본이 기획하고, 감수한 조선사를 그대로 우리들이 배우고 전수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립박물관에 가면 으례히 일본서기를 바탕으로 하는 임나지명이 고지도에 엄연히 그려져 있다”고 지정스님은 분통을 터뜨린다. 일본이 제시한 식민사관을 계속 교육하는 한 우리는 일본의 종속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함창고녕가야선양회 지정스님의 한결같은 주장이다.1945년 나라는 해방이 됐지만, 역사교육은 지금까지 120년동안 일제가 만들어놓은 조선사를 그대로 배우고 있다. 더욱이 지정스님은 “만선사관, 황국사관, 식민사관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니, 기가 찰 노릇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조선사편수회에 참가하고, 경성제국대학 역사학교수를 역임한 다카하시 토오루 교수는 60년대 국내에서 발행되는 동방학지(연세대)를 보고,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고 한다. “한국은 일본이 깔아놓은 역사레일을 이탈하지 않았으며, 역사교육에 있어서 일제강점기 때와 단층이 없다”고 했다. 그들은 좋아할지 몰라도 우리는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총독부가 기록한 조선사를 반드시 혁파해야만 한다.지금까지 함창고녕가야의 아픈 현실을 누구도 공론화 시키지 않았는데, 최근 들어 함창고녕가야 선양회 봉천사 주지인 지정스님이 나서서 학술대회와 다양한 형태로 언론에 홍보하면서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관심과 주목을 끌고있다. 특히 지난 봄에는 ‘함창고녕가야 태조 고로왕 대제’에 이철우 도지사께서 처음으로 참석하셔서 “함창고녕가야 역사를 복원시켜, 경북의 정체성을 살리고, 나아가 관광문화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히면서 “남들은 없는 것도 조작하여 역사를 만드는데 멀쩡한 역사를 이렇게 짓밟고 방치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지역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함창고녕가야선양회 지정스님께서 사비를 들여 학술대회와 언론홍보 등을 펼쳐 왔다. 이제부터는 경북도와 상주시가 전문가 학술대회와 언론 홍보 등 예산을 지원해 올바른 역사정립에 적극 나서야만 한다. 이번 제2회 함창고녕가야학술대회를 계기로 역사회복과 지역발전의 새로운 試金石이 실현되기를 기대해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