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사흘 뒤인 오는 31일 오전 8시40분부터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된다. 재수생 비율은 역대 최고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28일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에 따르면 전국 2124개 고등학교와 456개 학원 등에서 총 48만9370명이 9월 모의평가를 치를 예정이다.이 중 고3 재학생이 39만7119명(81.1%), 재수생 등 졸업생은 9만2251명(18.9%)이다. 총 지원자 규모는 지난 6월 모의평가보다 1만2222명 늘었다. 재학생은 3354명 줄었으나 졸업생이 1만5576명 증가했다.지난해 9월 모의평가와 비교하면 2만9307명 감소했다. 재학생은 1만1943명, 졸업생 등 수험생은 1만7364명 줄었다.특히 종로학원에 따르면 재수생 등 졸업생 비율(18.9%)은 2012학년도부터 6월·9월 모의평가 접수인원 통계 발표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종로학원은 재수생 증가 원인에 대해 "정시 규모 확대, 통합 수능으로 인한 유불리 큰 폭 발생, 정시에서 상위권 대학 이과생의 문과로 교차지원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보여진다"고 분석했다.이에 따라 올해 수능에서 재수생 비율은 3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됐다.코로나19 백신 접종 영향이 있었던 2022학년도 이전인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접수에서 16.0%였던 재수생 비율이 수능에서 29.7%까지 올라간 것을 추산한 결과다.재수생 비율이 30%를 넘은 적은 수능이 도입된 1994년학년도 이후 6차례에 불과하다. 1994학년도 2차 수능 33.8%, 95학년도 38.9%, 97학년도 37.3%, 97학년도 33.9%, 98학년도 30.7%, 2001학년도 30.8%다.종로학원은 이와 관련 "고3 학생들은 이런 재수생의 가세 영향도가 어느 해보다 높아진 점을 인식하고, 특정 영역을 포기하지 않으며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시험은 △1교시 국어 영역(08:40~10:00) △2교시 수학 영역(10:30~12:10) △3교시 영어 영역(13:10~14:20) △4교시 한국사 영역 및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14:50~16:37)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17:05~17:45) 순으로 실시된다.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성돼 있다. 국어는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수학의 경우 `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가 제시되며 수험생은 각 영역별로 본인이 선택한 한 가지 과목을 골라 풀면 된다.사회·과학탐구 영역은 17개 과목 중에서 최대 2개를 골라 응시하면 된다.시험 종료 후 문제와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3일 오후 6시까지 접수한다. 이후 9월5일~15일 간 이의심사를 거쳐 내달 15일 확정된 정답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에 따른 성적은 9월29일 통지된다.코로나19 확진자 및 당일 유증상자도 시험을 볼 수 있다. 확진 수험생은 시험장 내 분리 시험실에서, 졸업생 수험생은 시도별 총 21개 마련된 별도 시험장에서 사전 신청한 경우 응시가 가능하다. 온라인 응시도 가능하나, 그 결과는 전체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평가원은 시험장을 설치한 456개 학원에 대해 사전 방역 점검을 실시했으며, 관할 시도교육청은 감독관을 파견해 매 교시 문제지 개봉 시간 및 시험 시간 준수 여부를 관리·감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