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 인구가 50만 아래로 추락하면서 인구유입 대책 마련 등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인구 감소현상이 계속되자,시는 지난해 전입자에게 30만원을 지원하며 50만 지키기에 사활을 걸었다. 하지만 지난 한 해 62억원의 막대한 주소이전 지원금을 지원하고도 인구수는 936명 증가에 그쳤다.포항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포항 인구(주민등록)는 49만9363명으로 1995년 영일군과의 통합이후 처음으로 50만선이 무너졌다.인구 50만 붕괴시 대외적인 위상이 하락하며 구청이 폐지되고 경찰서·보건소·소방서 등이 1곳으로 축소된다.게다가 정부에서 지원받는 교부세 패널티를 적용받아 시 재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도세징수액 중 50만 이상 시는 47%, 50만 미만 시․군은 27%를 합한 총액의 90%를 일반조정 교부금으로 시․군에 지원하기 때문이다.이같은 이유로 포항시는 수십억원의 예산을 지원해 주소이전 운동을 펼치며 50만 사수에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철강경기 둔화로 인한 포항 철강공단 근로자 수 감소도 포항 인구감소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2017년 5월 말 포항철강공단 근로자는 1만4643명이었으나, 올해 5월말 1만3552명으로 1천여명이 감소해, 최근 5년간 1091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017년 갑작스럽게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지만, 포항시가 발빠르게 안전도시 구축에 나서 에코프로등 기업유치에 성공하면서,인구유입이 시작됐다.그러나 출산율 저하 및 수도권 선호현상 등으로 인구가 서서히 줄기 시작해 마침내 50만선이 무너졌다. 50만 붕괴에 따른 패널티는 2년간 유예기간이 있어 당장 적용되지는 않는다.출생률 저하 및 수도권인구 집중 등으로 인구감소는 이미 전국적인 현상이 되면서, 자방자치단체 역량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인구를 기준으로 한 특례를 개정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박희정 포항시의원은 “인구가 줄었다고 해서 각종 혜택을 없애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으로는 발전에 한계가 있다”며 “현재의 인구대책은 지역간 ‘인구 뺏어오기’등 출혈경쟁을 초래하기 마련이다.따라서 특례를 개정해 더 이상 인구수에 목매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포항시 관계자는 “인구의 자연감소(저출생 등)와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으로 인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전국적인 현상이다”며 “시는 인구 증가를 위해 지난해 단기적인 대책으로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과 주소이전 지원금 지급 등 사업을 실시한 결과,인구 50만 붕괴를 연장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의 인구정책도 기존의 출산장려나 거주인구의 양적확대 정책에서 벗어나 모든 세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춰 포항시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성장산업 투자유치, 문화, 예술, 체육 등 인프라 구축 등 중장기적인 인구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