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경북연구원은 지난 12일 연구원 7층 대회의실에서 경북관광혁신위원회 제1차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간담회는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지역관광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연구원의 `신정부 정책 지역화 세미나`와 연계해 진행됐다. 특히 신정부 출범 및 민선 8기 관광정책 기조에 맞춰 대구경북 관광정책방향을 강구하고,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간담회는 총 3건의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는 박경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이 ‘새정부의 관광정책과 대구경북 지역관광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박경열 연구위원은 대구경북 관광가치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대구경북 광역관광 사업 발굴 및 제도적 장치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어 김지선 티앤엘 대표의 ‘지속가능한 문화유산관광 활용 방향’ 발표가 진행됐다. 김지선 대표는 새정부의 문화유산 정책을 소개하고, 빅데이터 기반 문화유산 관리 서비스 및 기업, 지역, 예술가, 산업과 연계하는 문화유산 활용정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마지막 발표는 정란수 프로젝트 수 대표가 ‘서울관광 생태계 혁신사례와 대구경북관광의 방향 설정’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정란수 대표는 국가 공모사업에 대한 선제적 준비, 관광분야 콘텐츠 및 플레이어 발굴, 관광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토론은 이도선 동양대학교 명예교수의 진행으로 한국정신문화재단 권두현 관광연구지원센터장, 동국대학교 김남현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김미경 교수, 경주대학교 이태균 교수가 참여해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지역관광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특히 토론자들은 데이터에 기반해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관광기업ㆍ인재 중심의 생태계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대구경북연구원, 경북관광혁신위원회 제1차 정책간담회 성료..
뉴스

대구경북연구원, 경북관광혁신위원회 제1차 정책간담회 성료

김영식 기자 yskim684@ksmnews.co.kr 입력 2022/08/17 21:30

대구경북연구원이 지난 12일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지역관광 대응 전략'이란 주제로 경북관광혁신위원회 제1차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대구경북연구원 제공 

[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경북연구원은 지난 12일 연구원 7층 대회의실에서 경북관광혁신위원회 제1차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간담회는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지역관광 대응 전략'을 주제로 연구원의 '신정부 정책 지역화 세미나'와 연계해 진행됐다. 특히 신정부 출범 및 민선 8기 관광정책 기조에 맞춰 대구경북 관광정책방향을 강구하고,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간담회는 총 3건의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주제발표는 박경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이 ‘새정부의 관광정책과 대구경북 지역관광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박경열 연구위원은 대구경북 관광가치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대구경북 광역관광 사업 발굴 및 제도적 장치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지선 티앤엘 대표의 ‘지속가능한 문화유산관광 활용 방향’ 발표가 진행됐다. 김지선 대표는 새정부의 문화유산 정책을 소개하고, 빅데이터 기반 문화유산 관리 서비스 및 기업, 지역, 예술가, 산업과 연계하는 문화유산 활용정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 발표는 정란수 프로젝트 수 대표가 ‘서울관광 생태계 혁신사례와 대구경북관광의 방향 설정’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정란수 대표는 국가 공모사업에 대한 선제적 준비, 관광분야 콘텐츠 및 플레이어 발굴, 관광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은 이도선 동양대학교 명예교수의 진행으로 한국정신문화재단 권두현 관광연구지원센터장, 동국대학교 김남현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김미경 교수, 경주대학교 이태균 교수가 참여해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지역관광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특히 토론자들은 데이터에 기반해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관광기업ㆍ인재 중심의 생태계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