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역점사업으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상주공설추모공원 조성사업이 상주시의회에 제동이 걸려 시민들의 관심과 주목을 끌고 있다. 상주시의회는 지난 12일 제214회 임시회에서 상주시가 제출한 추가경정예산안 중 상주시공설추모공원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시설결정 용역비 3억원 전액을 삭감했다. 삭감 이유는 갈등이 야기된 문경시와 충분히 협의하는 등 일정기간을 거쳐 내년도 본예산에 사업비를 편성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주시 관계자는 “지난 2020년부터 관련 조례 제정, 추모공원 후보지 선정 등 사전준비에 총력을 기울여 왔는데, 이번 예산 삭감으로 사업지연과 추진동력 위축이 불가피해 몹시 당혹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금회 예산이 편성됐다 하더라도 용역기간이 1년 정도 소요돼 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문경시와 얼마 던지 협의할 수 있는 시간과 여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번 추경은 사업추진에 대한 의지의 표명이자 상징적 예산인데, 한마디로 생각지도 못한 일이 발생했다”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일부 시민들도 이번 상주시의회의 임시회 운영에 대해 보이지않는 손에 의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국민의 힘 7명과 무소속 1명 등 8명으로 구성돼 있는 총무위원회는 공설추모공원 용역비를 심사하고, 지난 10일 추경예산안 3억원을 통과 시켰다. 그렇지만 불과 하루만인 11일 국민의 힘 7명과 무소속 의원 2명으로 꾸려진 예결위에서는 돌연 3억원 전액을 삭감했다. 상주시장이 국민의힘 소속이고 해당 상임위와 예결위가 국민의힘 의원 절대적 지배하에 있는 구도에서 이 같은 결론에 도달한 것은 보이지않는 손이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상주시의회 17명의 시의원 중 15명이 국민의 힘 소속이다.그럼 상주시의회의 주인은 누구일까요?상주시청의 주인이 상주시민이듯, 상주시의회의 주인은 국회의원도, 시의원도 아닌 상주시민이라는 답이 정답이다.상주시의원도, 한명의 시민이며, 객관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인격체이다.지역 국회의원이 수족처럼 부릴 수 있는 수하가 아니라, 존중 받으며 스스로 지역과 지역민을 위해 봉사 희생하는 자리라는 것을 시의원들은 결코 잊어서는 않된다.지난 제8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때 자신의 입으로 지역과 지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시민을 주인처럼 섬기겠다고, 입이 닳도록 밝혔다는 사실을 똑똑히 기억해야 한다. 그말처럼 시민을 주인으로 삼고, 군림자가 아닌 국회의원의 수하가 아닌 인격체임을 명심하여야 한다.이번 상주시의회 임시회의 교훈을 잊지 않고, 건전한 사고를 자랑하는 제9대 상주시의원들의 활약상을 다시한번 기대해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