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호우와 무더위 그리고 열대야가 지속이 되면서 시민들의 피로도와 짜증이 극에 달했다. 특히 집중되는 호우와 무더위 뿐 만 아니라 습한 날씨 그리고 높은 온도는 식중독이 기승을 부리는 환경이다. 높은 온도와 습도는 세균 증식이 활발한 날씨여서 식중독 예방과 음식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벼운 질환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내장기관에 염증을 불러 일으켜 치명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질환이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에게 위험한 질환이므로 예방 및 대처에 만전을 기해야한다.세계보건기구 (WHO)와 국가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식품 섭취로 인하여 2인 이상의 사람에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 식중독이라고 말한다. 식중독은 흔히 세균성 식중독과 비세균성 식중독으로 나뉘는데, 상하거나 오래 된 음식에서 증식한 세균이 체내에서 독소를 발생시켜 나타난 가장 흔한 증상이 세균성 식중독이다. 그리고 드물게 비세균성 식중독으로 자연이 가진 독소에 의해 발병하는 것과 화학적 물질을 섭취했을 때도 생기는 질환도 있다.식중독 증세는 대개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과 연관이 있으며 입으로 섭취한 음식 중에서 유해성을 띠는 미생물이나 유독성 물질로부터 시작된다. 식중독균의 번식 속도는 세균마다 차이가 있어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세균성 식중독의 위험이 가장 높다. 고온다습한 여름 날씨에 발생하는 대부분은 세균성 식중독에 의한 경우가 많으니 평소 음식물관리와 처리에 좀 더 관심을 기울어야겠다. 대부분의 식중독균은 4~60도의 온도에서 증식하므로 뜨거운 음식은 최소한 60도 이상, 찬 음식은 최대한 4도 이하로 보관하면 세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오염된 식수라든지 음식물을 섭취한 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할 경우라면 식중독을 의심할 수 있다. 가벼운 증상에는 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타서 마시거나 이온음료의 섭취도 도움이 되지만 심한 경우 병원에서 수액공급을 받는 것도 필요하다. 대개 식중독의 치료는 구토나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 손실을 보충하고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수액공급이 주된 치료법이다. 시간을 끌거나 지체하면 장의 점막이 손상되고 소화 흡수기능이 감소되므로 재빨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또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조리시 음식을 충분히 가열하고, 냉장 및 냉동 보관을 해야 한다. 그리고 오염된 물을 마시지 않거나 음식간의 식중독 균의 전염을 막기 위해 익힌 음식과 날 음식간의 접촉도 피해야한다. 그리고 중요한 사항으로 개인 손 씻기 위생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의료진에 의하면 손만 잘 씻어도 식중독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하니 개인위생에 철저히 하며 건강하고 쾌적한 여름나기가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