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과 낙동강에서 발생한 물고기 떼죽음 사고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한 민관합동조사가 무산될 처지에 놓였다. 정부는 지난 10월 말 금강과 낙동강 일대에서 물고기 떼죽음 사고가 발생하자 원인을 밝히기 위해 민관합동조사를 벌이기로 했으나 사고발생 2개월여가 되도록 민관합동조사는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환경부와 환경단체인 금강을지키는사람들, 낙동강살리기시민대책위 등이 지난달 2일과 13일 두 차례 회의를 갖고 최근까지 수 차례 이메일 등으로 협의했으나 조사단 구성방식과 운영방안에 합의하지 못한 채 원인규명이 걷돌고 있다. 이 같은 이유는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을 중심으로 민간 추천을 받은 전문가를 조사단에 포함하자는 입장이고 환경단체는 환경단체가 참여하는 독립적인 공동조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의견이 맞서며 물고기 떼죽음 사고 원인규명이 미궁에 빠질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국장은 "물고기 떼죽음 사고를 공론화시킨 시민환경단체를 배제하겠다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정부 중심의 조사는 국민의 의문을 푸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립환경과학원 측은 "조사는 환경부나 학계 교수 등 전문가만으로도 철저히 시행할 수 있어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공동조사위원회 구성은 불필요하다"며 "민관합동조사를 위해 시민단체와 계속 협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