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를 고민하던 축구스타 이영표(35·밴쿠버 화이트캡스)가 선수생활을 1년 연장하기로 했다.
이영표는 13일 서울 신문로 가든 플레이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체력이 떨어지지 않는 데다가 클럽에서 좋은 제안도 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까지 거취를 고민해왔다.
이영표는 다음 시즌을 뛰고 나서 밴쿠버에서 프런트로 일하기로 구단과 약속했다고 밝혔다.
그는 "행정, 재무, 운영, 마케팅 등 전 분야를 구단에서 배우고 경험할 기회를 얻었다"고 말했다.
은퇴를 고민한 이유가 구단 경영을 배우려는 데 있었기 때문에 굳이 은퇴를 서두를 이유가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이영표는 자기 거취를 발표하는 기자회견 시간의 대부분을 국내 프로축구의 문제를 지적하는 데 썼다.
그는 스포츠 행정을 배우는 축구인으로서 국내에서 배울 점은 없느냐는 말에 "아직 흥행이 없는 K리그에서는 배울 게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관중이 경기장을 찾을 때는 발걸음의 이유가 있다"며 "K리그 구단들은 팬들에게 그 이유를 만들어주지 못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영표는 문제의 근원이 단기 성과에 집착하는 각 구단 사장들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장들이 2∼3년 임기내에 좋은 고과를 받으려고 할 뿐 한국 축구의 발전은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사실은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지난 시즌 K리그 16개 구단에서 감독을 해임한 곳이 10곳에 이른다는 사실이 사장을 포장할 가시적 성과를 위한 성적지상주의에 매몰된 구단들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이영표는 "이런 식이라면 (한국 축구의 양적, 질적인 성장과 관계없이) 내년에도, 그다음 해에도 감독만 무더기로 경질되는 일이 되풀이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K리그에서 급한 것은 누가 우승하는지, 누가 더 나은 성적을 내는지 따지는 것이 아니라 관중을 모으고 스폰서를 유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일본도, 유럽도 흥행에 성공했는데 왜 우리만 못하느냐"며 "한국인들이 축구를 싫어하는 것이 아닌 만큼 현실을 고민하면 해답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