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조사단에 의해 원전 ‘위조 검증서’를 사용한 부품이 울진원전 4호기에도 추가로 사용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울진 군민들로부터 원전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는 가운데, 울진군의회(의장 장용훈)는 11일 범군민대책위(가칭)를 구성하는 등 강력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이날 울진군의회는 의원사무실에서 울진원전 현안사항 관련 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울진원전민간환경감시위원회와 울진군 이장연합회, 사회단체 등이 참여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성명서 발표, 국정조사 요구, 감사원 감사 청구 등을 추진하기로 의결했다.
지식경제부는 최근 10년간 237개 품목 7682개 제품의 품질검증서를 위조한 부품이 국내 모든 원전에 납품됐고, 울진원전에 9개 품목 268개가 납품돼 그중 2개 품목 45개의 위조 부품이 사용됐다고 지난달 5일 발표했으며, 원자력안전위원회 민ㆍ관합동조사단에 의해 같은달 27일 울진원전에 위조 부품 180개가 사용된 것을 추가 확인했다.
울진군의회 위조부품 문제 이외에도 ▲울진 4호기 증기발생기 세관 무더기 결함과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특정업체 수주 의혹 ▲국산화 개발 단계인 RCP(원자로 냉각재펌프)와 MMIS(계측제어시스템) 설비의 신울진 1ㆍ2호기 최초 적용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방사성폐기물 소각 유리화 시설 세계 최초 운용 등 군민의 생명을 담보로 핵과 관련한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 이에 대한 대책과 한수원의 방안을 요구할 방침이다.
울진군의회는 이와 관련해 더 이상 침묵해서는 안된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비상대책위 구성에 적극 동참하기로 하고 지역 주민의 의사를 철저히 외면한 정부와 한수원㈜의 처사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주민의 안전 확보에 더욱 매진하기로 했다.
김경호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