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대통령 선거일이 오늘로 꼭 일주일이 남았다. 앞으로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 국정 최고책임자가 누구인지가 결정된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중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의 미래와 5천만 국민의 운명이 달라질 것이다. 그래서 국민의 소중한 한 표가 지니는 정치적 무게는 절대 가볍지 않다. 유권자들은 남은 선거운동 기간에 대선 후보들의 국가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도덕성, 국정운영 비전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마음을 정할 필요가 있다.
이번 대선은 여야 간 총동원 체제로 치러지고 있다. 보수진영은 박근혜 후보를 중심으로 하나로 결집했으며, 진보진영도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의 합류로 문재인 후보 주위에 모여들었다. 여기에 세대ㆍ지역ㆍ이념ㆍ계층 간의 치열한 주도권 다툼이 가세한 양상이다. 두 진영 모두 결코 물러설 수 없는 건곤일척의 승부를 가리게 됐다. 이명박 정부 5년에 대한 평가와 박정희ㆍ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주요 변수가 되었다. 자칫 진영 논리에 빠져 `묻지마식 투표`가 재현될까 봐 우려되는 것도 그래서다.
차기 대통령이 헤쳐나가야 할 국가적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무엇보다 저성장 위기에 처한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확보하면서 재벌개혁 등 경제민주화를 실현해야 한다. 소득양극화로 고통받는 서민ㆍ중산층을 살리고 가계부채와 부동산 경기침체 문제의 해법도 찾아야 한다. 또한 북한의 핵 및 장거리 로켓 문제 해결과 남북관계 개선, 한미동맹의 강화와 아울러 악화된 한중, 한일 관계의 개선 등도 다급한 사안들이다. 유권자들은 남은 선거운동 기간만이라도 그간 발표된 후보들의 정책 및 공약들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이런 국가적 과제를 누가 더 잘 풀어나갈 수 있을지에 방점을 찍길 바란다.
지금 여야 후보 진영은 물론 유권자들도 지지율 추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박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 문 후보에 대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그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는 게 여야 정당 및 여론조사기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내일부터는 후보자 또는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의 공표가 금지된다. 박 후보 진영은 우위를 굳히고자, 문 후보 진영은 역전을 꾀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상대 후보에 대한 흑색선전이나 매터도 등 네거티브 선거전이 가열될 공산이 크다. 두 후보가 네거티브 선거운동 자제 약속을 끝까지 지키면서 정책 대결에 주력하길 촉구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막바지 선거판이 흑색선전과 매터도를 동원한 이전투구로 변질하지 않도록 감시를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민주주의 나무는 유권자가 행사하는 소중한 한 표 한 표를 먹고 그 꽃을 피운다.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누구든 주권 행사야말로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서 응당 지녀야 할 권리이자 의무이다. 기권도 하나의 의사표현 방식이기는 하지만 냉소주의로 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차선’ 또는 ‘차악’의 선택도 차기 대통령에게 국정을 이끄는 데 필요한 정치적 힘을 보태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시행된 재외국민 대선 투표율이 71.2%를 기록했다고 한다. 지난 4.11 총선 때의 45.7%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내일부터 이틀간 국내 부재자 투표가 진행된다. 이런 재외국민 투표의 열기가 부재자 투표에 이어 대선 당일 투표에도 그대로 이어져 이번 대선이 온 국민의 축제로 승화되길 기대해 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