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거주하는 선거인의 참정권 보장 및 투표참여 촉진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차량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영남권의 교통편의 제공비율이 경북의 경우만 30%에 달해 논란이 예상된다. 중앙선관위는 지난 2008년부터 투표소와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서 당해 지역과 투표소 소재지 사이에 대중교통수단이 없거나 1일 대중교통의 운행횟수가 6회 이내 정도의 지역을 대상으로 투표구 또는 읍,면,동 단위로 노선을 설정해 운행하는 투표참여 촉진 대책이다. 하지만, 참정권 보장과 투표참여 촉진을 위한 교통편의 제공이 특정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다면 취지를 벗어난 정치적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또한 민주통합당 등 야권은 교통편의 제공이 참정권 보장과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환영할 만한 제도이지만 경상남·북도에만 집중되어 있다면 ‘공익적 배려’가 아닌 ‘정치적 의도’가 있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는 주장이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올해 4.11지방선거 당시 지역별 교통편의 제공비율이 경북 30.3%를 포함해 경상권이 전체의 48.6%에 달하고 전라권 32.8%, 충청권 11.4%, 강원권 5.7% 순이다. 또 지난해 6.2총선 당시에도 경상권은 경북 34.8%를 포함해 전체의 48.1%에 달했고 전라권 28.1%, 충청권 13.5%, 강원권 5.4% 순이었다. 야권은 이를 근거로 보수표가 많은 경상권 지역에 교통편의 제공비율이 50%에 육박하고 있고 특히 박근혜 후보의 텃밭인 경북지역은 전체비율의 30%를 웃돌고 있다는 점을 들어 교통편의 제공이 제도의 본 취지와 다르게 해석될 소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상북도 선관위는 “인구수가 전남이 150만 명, 경북이 210만 명이다. 인구수의 차이가 있고, 경북엔 산간지역이 많고 넓다”면서 “인구 증가율, 노령화 지수, 도로율을 기준으론 산정한 지역 낙후도를 기준으로 교통편의 차량을 제공하고 있다” 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 2012년 발표)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개 지역 중 경북의 지역 낙후도 순위는 13위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강원이 14위, 전북이 15위, 전남은 최하위로 나타나 경북 선관위의 ‘낙후지역 거주 인구수가 많고 지역이 낙후했기 때문’이란 주장과 대비된다. 민주통합당 경북선대위는 경북의 전체 인구 264만 명 가운데 고령자 수는 45만 명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2번째로 65세 고령 인구 증가세가 뚜렷한 곳으로 교통편의가 제공돼 투표참가가 늘어날수록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선관위가 차량만을 제공하고 선관위 직원이 동승을 하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 및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예방 및 단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좋은 취지로 도입된 제도가 정치적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새누리당 경북선대위는 “민주당이 투표시간 연장까지 주장하면서 투표 독려운동에 나섰다고 자랑하더니 이젠 선관위가 제공하는 교통편의를 문제 삼고 있다”면서 “차라리 교통편의 제공 전면중단을 정식으로 제기하는 것이 솔직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민주통합당 경북선대위 전재문 총괄본부장은 “고령의 보수성향 유권자가 많은 경북에 편중된 교통편의 제공에 대해 심각한 문제제기와 우려를 표명 한다”면서 “중앙선관위는 경북 편중 현상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명백한 공식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