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ㆍ경북이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 ‘제7차 세계물포럼’ 한국유치단(국토해양부, 경상북도, 대구시, 한국물포럼 공동)은 대구ㆍ경북이 15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3차 세계물위원회(WWC) 이사회 투표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스코틀랜드 글래스고’를 제치고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제7차 세계물포럼 개최지 선정에는 한국을 비롯한 영국, 스코틀랜드, UAE, 남아공 등 5개국이 경쟁했다.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WWF)은 21세기 인류의 과제인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비정부간 기구인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WWC)의 제안으로 매3년마다 ‘세계 물의 날(3.22)’ 전후로 개최되는 수자원분야 가장 크고 권위 있는 국제행사이다. 200여 개국의 수반, 장ㆍ차관, NGO, 민간인 등 3만여 명이 참가, 국가수반 및 장관급회의, 주제별 세션(120여개), 물 관련 전시회, 박람회 등이 개최된다. 경북도는 세계물포럼 개최에 따른 경제파급효과가 1,993억 원에 이르고 고용유발효과도 1,9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세계물포럼 성공적 개최로 지역의 물 관련 산업의 발전 및 국제화 네트워킹 강화는 물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물 중심 도시 및 지역으로서의 발전기반을 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범일 시장은 “이번 세계 물 포럼의 유치 쾌거는 전 시민의 참여와 열기에 힘입어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국제육상도시로 지정되는 등의 대구 상승 기운을 이어 가는 큰 의미를 가지며, 전 세계에 다시 한 번 도시 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한 것”이라며 “대구는 2013세계에너지총회 개최 도시인만큼 이번 유치를 계기로 녹색성장의 글로벌 선도도시로 세계만방에 각인시킬 수 있도록 550만 시도민과 함께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대구경북은 수자원 분야의 가장 크고 권위 있는 국제행사인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을 역대 대회 중 가장 성공적인 대회로 개최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반드시 육성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한편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16일 오전 경북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수자원분야의 가장 크고 권위 있는 국제행사인 ‘2015 제7차 세계물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해, 대구 경북의 `新 낙동강시대’를 활짝 열겠다”고 했다. 김영곤기자 kimyg@gsmnews.co.kr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