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3월 미국과 합의한 ‘브라운 각서’(Braun Memorandum)에서 한국은 충분한 명분을 세우면서도 철저한 실리를 얻는데 한 치의 착오도 없는 타협을 이끌어 냈다. 참으로 놀라운 일이며 이 외교적 성과는 외교가 아니라 하나의 예술 작품을 만들어 낸 장인의 결정품이라 하여도 과찬이 아니다. 이 각서에 의하면 미국이 한국에 대하여 특별보상 10개 항과 6개의 경제원조가 포함되어 있다.  특별보상: ① 한국군(육군 17개 사단과 해병대 1개 사단) 현대화 계획에 대하여 장비 일체를 제공. ② 추가파병 병력에 필요한 장비 제공 및 경비부담. ③ 보충 병력에 대한 장비 및 소요경비 부담. ④ 한국군의 대간첩 활동능력 개선을 위한 지원. ⑤ 탄약 생산 증가를 위한 병기창 확장 시설 제공. ⑥ 한국 공군에 C-54 항공기 4대 제공. ⑦ 파병 장병의 해외근무 수당 제공. ⑧ 전상자에 대한 보상금 2배 지급 등이다. 경제보상: ㉠ 미국은 한국군의 추가 파병에 대한 추가비용 전액을 지원한다. ㉡ 베트남 주둔 미군의 구매품목을 한국에 발주한다. ㉢ 추가 개발차관 제공. ㉣ 1,500만 달러의 차관 제공 ㉤ 한국에 대한 기술 원조 강화 외, 몇 가지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문서는 2005년 1월 17일 한일협정 문서공개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밝혀지지 않은 합의사항 중에는 한국의 기업들이 월남에서 기업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미국의 보장이 아닌 가 추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합의가 있었기에 우리 기업들이 월남에 대거 진출하였고 그 성과도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컸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주)한진이 담당한 수송 보급 용역과 현대건설의 항만 준설 및 부두공사만으로도 5억 달러를 수주하였으니 현재의 물가 수준을 감안한다면 50억 달러도 넘었을 것이다. 또 삼환기업이 이룩한 건설수주를 비롯하여 효성물산, 대한농산 등 수십 개의 한국기업이 월남에서 달러를 끌어들였다. 하지만 이 지역의 공사는 일반적 상식의 산업현장이 아니라 적과의 전쟁을 하는 중심지역에서 일구어내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전쟁보다 더한 위험을 안고 싸우면서 건설한 대표적 사례로서 한국인들만의 특수한 민족적 특성이 아니고서는 불가능 하였을 것이라고 한다.3. 국가유공자 지원 월남전을 떠올리면서 느끼는 감회는 국가의 명령에 따라 6ᐧ25전쟁을 비롯하여 공산주의자들과 싸우다 희생당한 참전 군인이나 경찰관에 대한 보상에 우리 정부는 자유로울 수가 있을까 하는 것이다. 그들이 싸워 승리하였기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지킬 수 있었고, 그들이 희생하였기에 우리는 지금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그렇다면 그에 합당한 예우가 동반되어야 함에도 생명을 담보로 싸운 국가유공자를 이렇듯 외면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반역이다. 이제 인생의 후반기를 맞이하고 있는 6 25전쟁 참전용사 중 생존자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들은 지금 가난의 굴레에서 허덕이고 있다. 또 월남전 참전으로 지금도 고통을 당하고 있는 고엽제 피해자를 비롯한 전상자 가족들도 마찬가지다. 특히 국가 명령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한 파병 용사들, 그들이 세계에 떨친 한국인의 강인한 투지는 국가 명예를 크게 높였을 뿐 아니라 중동이라는 신세계를 개척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더욱이 그들이 생명의 대가로 벌어들인 달러로 경제개발 과정에 큰 여유를 가졌다. 이들에게 국가가 참전명예수당으로 매월 30여만 원의 보상금을 지급한다. 이래도 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나라를 위하여 전장에서 청춘을 바친 용사들에게도 합당한 예우를 하라는 것이다. 참으로 웃기는 일화가 있었다. 대구에 거주하는 참전 용사 박(81)모 옹의 경우, 참전수당이 월 12만 원인데(인상되기 전) 5만 원이 더 추가되어 17만 원을 받는다. 왜 5만 원을 더 받느냐 하니까, 이 분은 훈장을 3개나 수훈하였는데 훈장 1개에 5만원이 추가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3개니까 27만 원을 받아야 하는데 왜 17만 원일까 하니까, 훈장을 10개 받아도 하나로 인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참전용사들에게는 인색하면서, 어떻게 타 분야의 유공자들에게는 그렇게 후한 것인지 상식으로 이해되지 않은 한국정부의 시책을 보면서 누가 이 정부를 신뢰할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