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개천절인 3일 외부 공개 일정을 생략한 채 `국민대통합 재시동`을 위한 구상에 몰두했다.
전날 "이번 선거의 가장 큰 가치는 국민대통합"이라고 밝혔던 만큼 박 후보의 최우선 숙제는 상징성 있는 외부인사를 중앙선대위에 영입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중앙선대위의 마지막 빈자리인 공동선대위원장과 국민대통합위원장직에 이념ㆍ세대ㆍ지역ㆍ계층의 통합을 상징할 수 있는 외부인사 발탁을 위해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외부인사 영입을 비롯해 중앙선대위 출범이 임박한 상황"이라며 "이르면 오는 일요일(7일)께 선대위 구성이 완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가 전날 주재한 `추석민생 및 선거준비상황 점검회의`에서 "지금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이라고 강조한 점도 중앙선대위 출범을 계기로 대선조직을 정비, 신발끈을 조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추석 연휴 직후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 후보의 지지율 하락세에 제동이 걸렸다는 내부 판단 아래 국민대통합에 재시동을 걸며 `중도층 확장`에 초점을 맞춰 지지율 반등을 꾀한다는 구상과 맥이 닿아 있다.
특히 공동선대위원장으로 거론된 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1970년대 초반 권력층의 부정부패를 신랄하게 비판한 `오적`(五賊)의 시인 김지하씨 등이 국민대통합위원장 하마평에 꾸준히 오르고 있어 박 후보의 `삼고초려` 결과물이 조만간 나올지 주목된다.
다만 박 후보 진영의 관계자들은 인선 과정이 섣불리 외부에 노출될 경우 외부인사들이 부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유지에 극도로 신경을 쓰고 있다.
이와 함께 박 후보는 중앙선대위 출범 후 정책행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준비해온 정책 공약을 하나씩 공개하면서 안정감 있는 대선후보로서의 이미지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여의도 당사의 4층 기자회견장의 벽면이 `국민대통합, 함께사는 대한민국`에서 `이제 정책에서도 앞서가겠습니다`라는 문구로 바뀐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추석 전인 지난 23일 `하우스ㆍ렌트푸어` 대책을 발표한 박 후보는 일자리 정책을 성안, 이른 시일 내 직접 발표할 계획이다.
캠프의 한 핵심 인사는 "박 후보는 오늘(3일) 외부인사 영입과 지지그룹 관계자들 면담과 함께 여러 정책을 점검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