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종, 조승우, 차태현, 지성.
하반기 안방극장에서 이들 막강 남자 배우 4인방의 빅매치가 펼쳐진다.
종목은 사극.
상반기에는 판타지 사극을 통해 김수현, 지현우, 박유천 등 신예들이 부상했다면 하반기에는 `안전`을 보장하는 스타들이 등판한다는 점이 다르다.
과연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까.
◇"대어(大漁)급의 격돌" = 스타트는 최수종이 먼저 끊었다.
KBS 1TV는 `사극 불패 신화`를 이어온 최수종(50)에게 지난 8일 시작한 대하사극 `대왕의 꿈`을 맡겼다.
2000-2002년 `태조왕건`, 2002년 `태양인 이제마`, 2004-2005년 `해신`, 2006-2007년 `대조영` 등 KBS 사극에서 잇달아 타이틀 롤을 맡아 `대박`을 친 최수종은 이번에는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를 연기한다.
일부에서는 "최수종 때문에 왕건, 장보고, 대조영, 김춘추의 모습과 역사가 모두 헛갈린다"는 비난도 나오는 게 사실.
그러나 `근초고왕` `광개토태왕` 등 최근 선보인 대하사극이 잇달아 부진했던 KBS는 식상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다시 한 번 최수종이라는 `안전한 선택`을 했다.
`대왕의 꿈`의 신창석 PD는 "최수종이 사극을 너무 많이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사극에서 최수종의 존재는 곧 한국 축구계에서 박지성"이라며 "그만큼 성실하고 헌신적으로 온 영혼을 바쳐 연기한다"고 강조했다.
내달 초 시작하는 `마의(馬醫)`는 `MBC 창사 51주년 특별기획`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다.
MBC는 이처럼 힘을 준 사극의 주인공으로 뮤지컬·영화계의 스타 조승우(32)를 캐스팅했다.
데뷔 13년 만에 처음으로 드라마에 출연하는 조승우는 조선후기 실존인물 백광현을 연기한다. 천민의 신분으로 말을 고치는 마의(馬醫)에서 출발해 어의(御醫) 자리까지 오른 인물이다.
1999년 임권택 감독의 사극 `춘향뎐`을 통해 혜성 같이 데뷔한 조승우는 이후 10년간 현대극에 매진하다 2009년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에서 명성황후의 호위무사를 연기했다.
이후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와 한층 성숙해진 조승우는 자신의 세 번째 사극이자 첫 번째 드라마인 `마의`를 통해 앞선 작품들과 또 다른 지점에서 사극 연기를 펼칠 전망이다.
특히 `춘향뎐`과 `불꽃처럼 나비처럼`에서는 멜로에 집중했다면 `마의`에서는 신분의 제약과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의술을 펼치는 인물의 드라마틱한 통사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조승우로서도 색다른 도전이 될 듯하다.
지성(35)은 SBS 새 수목극 `대풍수`의 주인공을 맡아 도사로 변신한다.
팩션 사극인 `대풍수`는 고려 말 권력의 주변부에 있던 도사들이 난세의 영웅 이성계를 앞세워 조선을 건국하는 이야기. 지성은 뛰어난 분석력을 지닌 도사 `지상`을 연기한다. 후에 최고의 지리 관상학자로 성장하며 이성계를 왕으로 만드는 `킹메이커` 역할을 하게 된다.
지성은 TV에서는 2003-2004년 SBS `왕의 여자`에서 광해군을, 2010년에는 MBC `김수로`의 타이틀 롤을 맡았고, 영화에서는 2005년 `혈의 누`로 사극 연기를 펼쳤다.
주로 왕을 연기한 그가 이번에는 근엄한 카리스마를 벗고 도사로 변신해 새로운 사극 연기를 보여줄 예정이다. 그는 최근 무려 5시간이나 몸에 와이어를 묶고 낭떠러지 위에 매달린 연기를 펼치는 등 기존의 사극 캐릭터와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차태현(36)은 지금 사극에서 가장 `핫`한 스타 중 한 명이다.
지난 8월 개봉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로 490만여 관객을 모은 그는 KBS 2TV가 `착한남자` 후속으로 오는 11월 방송하는 `전우치`의 타이틀 롤로 캐스팅됐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차태현이 1995년 데뷔한 이래 처음 출연한 사극. 첫 영화 사극에서 대박을 친 그가 여세를 몰아 이번에는 TV 사극에 도전한다.
`전우치`는 코믹터치의 판타지 사극으로 정통사극은 아니다. 하지만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갓, 도포를 쓰고 나온 차태현이 능청스럽게 펼친 코믹 연기가 현대극과는 또 다른 웃음 포인트를 줬듯 그의 사극 연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드라마 속 전우치는 홍길동이 세운 이상국가 율도국의 도사. 친구의 배신으로 아버지처럼 따른 홍길동을 잃고 사랑했던 여인마저 죽자 복수를 위해 조선에 왔다가 얼떨결에 영웅이 돼가는 인물이다.
◇타임슬립의 퇴장..정통사극 힘받나 = SBS `신의`와 MBC `아랑사또전`이 아직 방송 중이고 `전우치` 역시 판타지 장르이긴 하지만 하반기에는 정통사극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한동안 이어진 타임슬립을 소재로 한 판타지 사극이 `신의`를 끝으로 당분간은 휴면기에 들어갈 듯하다.
지난해에는 `공주의 남자` `무사 백동수` `뿌리깊은 나무` 등 팩션사극이 유행이었다면, 올 상반기에는 `해를 품은 달` `닥터 진` `인현왕후의 남자` `옥탑방 왕세자` `아랑 사또전` `신의` 등 판타지 사극이 득세했다.
그중에서도 타임슬립을 소재로 한 사극이 줄줄이 방송되며 소재와 에피소드 등이 겹치는 사태로 `교통정리`가 안되기도 했다.
그사이 사이 `광개토태왕` `무신` `인수대비` 등 정통사극도 방송됐지만 판타지 사극에 가려 이렇다 할 빛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올 하반기에는 정통사극들이 설욕전을 할 것이라는 것이 방송가의 바람 섞인 전망이다.
`대왕의 꿈`과 `마의`는 물론이고 `대풍수`도 팩션이 가미되긴 했지만 정통사극 쪽에 가깝다. 세 작품 모두 지상파 3사가 고루 `대작`이라며 힘을 주는 작품들.
`대왕의 꿈`은 우리 역사상 최초로 통일국가를 이뤄 민족문화의 전성기를 이룬 태종무열왕과 김유신 등 신라시대 영웅 일대기를 조명한다.
총 200억 원대 제작비가 투입된 80부작 `여인천하` `대물`의 유동윤 작가와 `명성황후` `천추태후` 등을 연출한 신창석 PD가 손잡았다.
한방 의학 드라마를 표방한 `마의`는 `이산`과 `동이`에서 호흡을 맞춘 이병훈 PD와 김이영 작가가 세 번째로 손잡은 작품이다.
조선 최초 한방외과의로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백광현이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가난한 백성을 위해 평생 헌신하며 실천해낸 인술 휴머니즘을 그려낸다.
조승우 외에 `선덕여왕`의 이요원과 이순재, 손창민, 이상우, 유선, 한상진 등 쟁쟁한 배우들이 출연한다.
SBS는 `대풍수`를 총 제작비 200억 원의 블록버스터 사극이라고 강조한다.
SBS는 "고려 말과 조선의 건국을 둘러싼 격동기에 조선왕조의 사관들이 미화한 권력자나 승리자 관점의 역사가 아니라, 백성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풍수, 관상가 등 소위 도사들이 역사의 뒷면에서 이성계를 새로운 왕조의 왕으로 만드는 활약을 그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35억 원을 들여 충남 부여에 2만 1천㎡ 규모의 대형 고려시대 야외세트도 건설 중이다. 지성 외에 송창의, 지진희, 김소연, 이윤지, 조민기, 이승연, 오현경 등이 출연한다.
KBS `전우치`는 무협액션판타지 사극이다.
차태현이 구미호의 구슬을 삼켜 얻은 도술로 백성을 구휼하는 주인공 전우치 역을 맡았고, 애프터스쿨의 유이가 전우치의 사랑을 받는 홍길동의 손녀딸이자 율도국의 공주인 홍무연 역에 캐스팅됐다.
`주몽` `일지매` 등 사극을 히트시킨 초록뱀미디어가 제작을 맡았다.
방송 관계자들은 사극 열풍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 소재의 다양화와 함께 "남녀노소를 아우를 수 있는 게 강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