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와 근로자는 서로 다툼의 대상이 결코 아니다. 서로가 상생하는 관계이다. 그러나 임금 문제를 두고서 첨예하게 다툴 때도 있다. 그럼에도 가장 기본적인 것은 상생발전이다.
포스텍 청소 근로자 문제는 지난 8월 1일자로 대학 안의 청소를 기존의 (주)금원에서 (주)경포로 바꾸었다. 이 과정에서 포스텍은 공개입찰 전에 이미 기존 업체에 계약 단가 인하를 요구했다. 이와 반대로 입찰 조건에 근로승계에 대해 명시하지 않았다. 이 탓에 포스텍 청소 근로자의 임금이 삭감되었다.
대개 우리사회에서 청소근로자라면, 하루 벌어 하루를 사는 계층이다. 그럼에도 갑작스레 어느 달에 생각지도 못했던 봉급이 삭감된 채로 받았다면, 이들은 우선 놀랐을 것이다. 앞으로 보다 얇아진 월급봉투로 어떻게 생활할 것인가에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포스텍 청소근로자는 불과 50여명이다. 포스텍 전체로 볼 때에 아주 적은 숫자이다.
청소근로자의 봉급을 삭감하여, 이들의 삶 자체를 흔들어가면서 예산을 절감한들 포스텍의 전체 예산이 얼마나 절약될 것인가. 얼마가 되지 않을 예산으로 청소근로자 삶 자체를 흔들 필요가 있을까를 묻고 싶은 심정이다. 처음부터 흔들겠다고 작심했다면 공개 입찰 때에, 단가 인하와 근로자 임금 인하여부도 보다 분명한 어조로 밝혀서야 했다. 이게 지금의 화근이 된 셈이다.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경북일반노동조합은 지난 20일 포스텍 청소 노동자 임금삭감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리고 지난 일주일간 진행한 2,000여명의 서명용지를 대학본부에 전달했다. 포스텍 관계자는 전달받은 서명지와 발표문 등을 참고해 자체 회의과정을 통해 이번 문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은, ‘충분한 검토와 대책’이다. 한국 최고의 비판적인 지성인 집단인 포스텍이 위 같은 말에 절대로 귀치레적인 수사가 아니기를 바란다. 그리고 포스텍과 청소근로자가 상생하는 쪽을 양자가 선택하기를 도 바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