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이 영유권 분쟁이 불 붙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순시선과 해양감시선 등 관공선을 경쟁적으로 증원하면서 대치 국면이 심화하고 있다. 19일 일본과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해상보안청은 중국 선박의 센카쿠 해역 진입을 저지하기 위해 전체 보유 순시선 121척 가운데 절반인 약 50여척을 투입했다. 이는 수적 우위를 앞세운 중국 해양감시선들이 지난 14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일본이 주장하는 센카쿠 영해(12해리)에 집단 진입한 것에 대응하려는 조치다. 증원된 순시선 가운데는 40㎜ 기관포를 장착한 1천t급 아소함이 포함됐다. 아소함은 원래 무장 공작선 나포 등 준 전투 상황에 투입되는 함정이다. 해상보안청 관계자는 "중국 어선 1천척이 센카쿠로 향했다는 보도도 있었던 만큼 전례 없는 규모의 경계 태세를 갖추기로 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미 자국 어선의 센카쿠 어로를 보호하고 일본 측의 저지를 무력화하기 위해 해감총대 소속 해양감시선 10척과 농업부 산하 어정선(어업관리선) 2척 등 12척 관공선을 배치했다. 중국은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 직후 관공선 6척을 투입했는데 전력을 배로 늘린 것이다. 중국은 해감총대 산하에 400여척의 해양감시선과 농업부 어정국 산하에 140여척의 어정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일본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관공선을 보유한 중국은 순시선 증원 조치에 대응해 해감선과 어정선을 증원할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다 일본이 중국 어선의 센카쿠 영해 진입으로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자위대 함정을 센카쿠 열도에 가까운 해역으로 이동토록 했고, 중국 군부도 경고음을 내고 있어 최악의 경우 양국이 무력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중국이 공격형 핵잠수함을 자국 어선단 후위에 배치했다는 소문도 인터넷 등에서 나돌고 있다. 량광례(梁光烈) 중국 국방부장은 전날 리언 패네타 미국 국방장관과 회담 자리에서 "우리는 댜오위다오 사태의 향방을 주시하고 있다"며 "추가적인 행동을 취할 권리를 보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휴어기가 풀린 중국 어선들이 대거 센카쿠 해역에 도착에 조업을 시작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중국 어선 수백척은 18일 밤 늦은 시간 센카쿠 해역에 도착, 어로에 들어갔다. 다만 아직 중국 어선들은 일본이 주장하는 영해 밖에서 조업하고 있다. 센카쿠 해역에서 조업 허가를 받은 어선은 저장성, 푸젠성 일대에서 1천여척에 달한다. 한편 중일 양국의 정면 대치 국면이 이어지는 속에서 일본 정부는 외교적 대화를 통해 센카쿠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수 있다는 입장이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18일 일본의 한 방송에 출연해 "외무상도 포함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고 대화 채널을 보다 넓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고 말해 외교장관 회담 등을 통해 중국과 사태 해결을 모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대화의 선결 조건으로 센카쿠 국유화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중국이 일본의 대화 제의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