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중지란’ 우려 신중론도
새누리당 일각에서 박근혜 대선후보의 과거사 인식과 관련한 의원총회 개최 필요성을 제기하는 기류가 있어 주목된다.
당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의 대표인 남경필 의원은 1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책이건 역사관이건 후보 개인의 것이 아니라 당의 것이 돼야 한다"면서 "당과 후보가 이런 것들에서 괴리돼선 안되는 만큼, 과거사 의총 개최가 필요한지를 내일 모임 운영위에서 공식적으로 논의해보겠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당이 정책과 역사관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토론이 필요하다는 기본 인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모임 소속인 한 의원도 "의총을 열지 않고도 과거사 문제가 정리될 수 있으면 최선이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의총 개최도 검토할 수 있는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한 당직자도 "과거사 문제에서 박 후보가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위험하다는 차원에서 당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의견이 내부적으로는 팽배해 있다"며 의총 개최 필요성에 공감했다.
특히 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새 시대의 맏형이 되겠다"며 `정의`를 강조하고 있고 `새 정치`를 주장하는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조만간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박 후보가 자칫 야권의 `과거사 프레임`에 묶일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홍일표 대변인이 지난 12일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은 박 후보의 (인혁당 관련) 표현에 일부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사과한다"고 했다가 박 후보가 부인했던 해프닝은 이런 우려속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되는 분위기다.
측근 인사들이 박 후보의 입장 전환을 강하게 요구하지 못하는 것도 결국은 의원총회라는 공론의 장을 통해 박 후보에게 압박을 가해야 하는 한 이유로 거론되고 있다고 한다.
김병호 공보단장이 전날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박 후보의 인혁당 사건 사과 논란에 "유신 자체를 판단(기준)으로 한다면 그 당시 가족, 지금까지 내려오는 사람들한테 다 사과해야 한다. `사과한다`는 그걸 (박 후보가) 여러 차례 이야기했다"고 한 것은 과거사 문제에 관한 박 후보 주변 인사들의 분위기를 짐작케 하는 사례로 지적됐다.
다만 `과거사 의총` 개최에 대한 부정적 의견과 신중론도 적지 않아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자중지란으로 여겨질 수 있고 야권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소장파 의원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의총이 열리면 당이 후보를 압박하는 모양새가 될 수도 있어 곤란해질 수 있고, 야당에 박 후보를 공격할 좋은 구실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당직자는 "의원총회라는 형식을 취하기에 앞서 지도부가 당내 의견을 수렴, 비공개적으로 박 후보에게 당의 전반적 기류를 전하면서 입장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의총이 열리지 않더라도 논란이 공론화한다면 이 자체가 박 후보의 과거사 인식에 대한 전향적 입장을 이끌어낼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