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저동항은 동해안의 어업 전진기지이다. 게다가 우리들에게 신선한 먹을거리를 제공해주는 천혜의 해역이다. 그러나 이 저동항을 건설한지 30여 년이 지나, 지금 한창 보강공사를 하고 있다. 그때 당시의 규모는 남방파제 580m, 북방파제 275m, 호안 258m, 돌제 85m이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한 방파제 보호용인 일부 ‘시룩’(Sea Lock, 테트라포드 일종)이 파손된 채 거치되고 있어, 부실공사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이 의혹대로라면, 보강공사가 되레 보강은커녕 신선한 먹을거리와 청정해역을 버린다고도 말을 할 수가 있다.
공사를 맡은 어느 건설사는 이곳에 투입되는 시룩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균열이 갔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숨긴 채 공사를 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심지어 파손이 심한 일부 시룩을 시멘트로 땜질했다는 말도 무성한 판이다. 더 의혹을 뒷받침하는 일도 있었다. 지난해 크레인으로 옮기는 중에 4~5개가 무 토막같이 잘려나가듯 부러지기도 했었다. 어처구니없다.
이에 대해 모 기관이 지난해 이와 관련한 사건을 의욕적으로 수사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수사를 중단했다는 취지로 본지가 수사 뚜껑을 닫아버렸다고 보도했다. 이 배경을 놓고도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어느 기관이든 일단 수사를 착수했으면, 그 결과를 한 점의 의혹도 남김없이 파헤쳐 밝혀야만 한다. 본지의 보도대로 어느 날 수사가 중단했다. 그러나 우리가 보기에 수사 중단이 아니고 수사가 미진했거나, 수사결과 발표를 하지 않았다고 본다. 이렇다면, 배경이 있다는 괜스런 오해까지 부를 것이다. 그리니 오해와 의혹을 부르기에 충분한 소지가 있다. 저동항 보강공사 예산은 총 389억 원이다. 공사는 지난 2010년부터 시작했다.
KS를 받은 레미콘 업체가 울릉도에 두 군데나 있다. KS는 공공기관에서 일정한 검증과정을 거쳐, 공사에 사용해도 안전하다는 사회적인 신뢰의 표시이다. 그러하기에 공사를 할 때는 누구나 KS를 원한다. 더구나 저동항 같은 공사라면, KS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하나의 상식에 불과하다. 이를 놓친 것도 의혹의 대상이 될 수가 없는가를 당국과 해당 업체에게 묻고 싶다.
이에 대해 본지의 보도에 따르면, 선박위에 레미콘시설을 해놓은 무허가 시설과 마찬가지인 업체에 공사를 맡겨 온갖 의혹과 말썽을 빚어왔다. 여기에서 무허가 같다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 수가 없다. 그럼에도 이 대목에서 우리기 짐작하건데 KS업체보다 허술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또 다시 이 같은 중요한 공사에 KS를 제쳐두고 무허가 같은 업체에 공사를 맡겼는가를 또 묻는다.
이 같은 부실에 대해 건설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양생이 덜된 구조물을 거치하는 경우와 ‘레미콘 선박’에서 시멘트, 자갈, 모래, 물 등을 정확하게 계량하지 못해 발생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말은 레미콘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계량만 정확하다면, 좋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일부 시룩을 옮기는 과정에서 무같이 토막이 난다면, 어딘가에 문제점을 던진다. 여기에서 수사를 다시 활짝 열어야 한다는 쪽에 여론의 무게가 실린다.
의혹여론에 따라 다시 수사하려면, 왜 그때에 수사를 중단 또는 미진과 비발표의 이유도 속이 시원하도록 밝혀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할 수사에도 여론이 수사 결과에 정당성을 부여해줄 것이다. 뿐더러 저동항 보강 공사는 육지 공사와는 전혀 다른 점이 있다. 바다 밑이다. 바다 밑은 우리 육안으로는 위험성이 곧바로 보이지가 않는다. 그래서 저동항 보강 공사는 보다 확실하게 해야 한다.
지금 공사가 진행 중이라니, 어쩌면 다행이다. 공사가 끝나고 나서 부실 의혹이 인다면 그때에 수사를 하려면, 더욱 어려운 점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행정과 수사 당국은 즉시 공사를 멈추고, 부실 논란이나 의혹 따위를 철저히 공개적이고도 투명한 수사를 다시 해보기를 권고한다. 이때에 지난 2010년까지 소급하여 조사해야 한다. 또한 현재 상태도 철저히 파헤쳐야한다. 의혹 논란 한가운데에서, 수사 뚜껑을 닫았느니(?) 하는 등의 의혹 대상에 수사기관이 끼어들 하등의 이유가 없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