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호기자]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0월 17일부터 2018년 10월 1일까지 1년에 걸쳐 홈플러스 고객 4만9007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홈플러스는 2019년 9월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신고했다.홈플러스의 온라인몰 고객 4만9000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피해금액은 약 400여만원. 일각에서는 홈플러스가 1년간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데다,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홈플러스가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은폐하려 했다는 것이다. 변재일 의원은 “홈플러스는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한 지 6일이 지난 지금까지 이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고 있다”며 정보통신망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반면 홈플러스 측은 “피해 고객에게는 KISA 신고 당일인 지난 20일 오후 6시부터 패스워드를 즉시 초기화한 후, 새로운 비밀번호를 사용하도록 이메일·문자메시지로 개별 안내했다”고 반박했다.또 다른 문제는 홈플러스가 장기간 동안 이뤄진 개인정보 유출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 변재일 의원은 “홈플러스는 4만9000개 이상의 아이디에 무단 로그인과 재산 탈취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의 민원이 발생하기 전까지 1년 동안 이 사건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홈플러스는 온라인 쇼핑몰의 비정상적인 로그인, 고객의 재산(포인트) 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비난했다.이러한 현상에 소비자들은 소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곳에서도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태들에 비교적 자본력이 낮은 통신 업계 절약 사이트 혹은 대리점들 가입 시에도 개인정보 보안이 취약하지 않나 우려하고 있다.또한 본래 인터넷을 본사보다 저렴한 인터넷으로 SK LG KT 결합상품 가족할인으로 많은 혜택을 통해 신청을 할 수 있는 인터넷설치 TV요금 가입이 가능한 전국 인터넷가격 비교사이트들 간에도 사칭 및 개인정보 유출이 높은 곳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인터넷 가입 비교사이트의 존재 가치는 인터넷 통신사 IPTV비교 변경으로 추천 받아 변경 개통 후 현금지급을 받는 것이 아니다. SK브로드밴드, KT올레(케이티), 엘지 인터넷 가입 고객센터로부터 3사 비교를 통해 한 눈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결합사유품으로 추천받을 수 없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소비자 중심 최저 요금 설계를 통해 합리적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가족 결합할인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개인정보 보호가 비교적 취약한 네이버 카페 혹은 뽐뿌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해 소비자들의 안전한 인터넷가입 및 통신비 절약 중심으로 최저 요금 설계를 받는 목적으로 인터넷가입 비교 사이트를 이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 가치를 퇴색하고 있는 피해들이 발생하고 있다.소비자 만족 지수 1위, 공식 인증 인터넷가입 비교사이트 ‘인터넷서포터’ 관계자는 “가입 시 보안이 취약하거나 공식 홈페이지 없이 운영하는 업체는 보안 서버가 별도로 운영되지 않고 따로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접수 후 파기하는 것에 대해 정확한 확인이 어렵다. 그러므로 가입 시 홈페이지를 통해 SSL서버가 구동이 되는 지 여부 등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