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이 근로장려금(EITC)을 신청한 73만 5천 가구에 모두 5천971억 원을 추석 전에 조기 지급한다. 가구당 수령액은 81만 원이다.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어려운 가구의 소득을 국세청이 지원하는 제도다. 송성권 국세청 소득지원국장은 "예기치 못한 태풍 피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가구에 도움이 되도록 13일부터 근로장려금 결정 내용을 개별 통지한다"고 밝혔다. 대상 가구는 올해 5월 근로장려금을 신청한 93만 가구 가운데 수입요건 심사를 마친 91만 3천 가구의 79%다. 해명자료 미제출 등으로 심사가 늦은 1만 7천 가구에는 곧 심사를 끝내 9월 전에 지급할 예정이다. 지원총액은 작년보다 1천951억 원(48.5%) 늘었다. 가구별로는 4만 원 증가했다. 태풍 피해가 심한 호남ㆍ충청ㆍ제주에 작년보다 549억원 늘어난 총 1천687억 원을 제공한다. 피해 서민의 추석 자금 수요에 도움을 주려는 조치다. 올해부터는 수급요건 확대로 60세 이상 수급자가 10만 4천 가구(비중 14.1%)로 작년보다 10만 가구 늘었다. 30~40대 젊은 가구는 44만 8천 가구로 전체의 61.1%를 차지한다. 근로장려금은 신청자가 신고한 금융계좌로 이체된다. 계좌를 알리지 않은 신청자는 국세청이 발송한 국세환급통지서를 우체국에 제출하고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전용홈페이지(www.eitc.go.kr)나 담당 세무서 소득세과에 문의하면 된다. 국세 체납액이 있으면 근로장려금 중 체납액을 빼야 한다. 사업실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결손처분세액이 500만 원 이하인 신청자 557명엔 납부의무를 면제한다. 송 국장은 "10월 이후 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후검증을 해 고의 또는 중대 과실로 사실과 다르게 신청한 부적격자가 확인되면 근로장려금을 환수하고 최대 5년까지 환급을 제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올해 수급자 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19.5%로 가장 많고 울산이 1.6%로 가장 적었다. 성별로는 남성(57%)이 여성(43%)보다 많았다. 단독가구(13.4%)보다는 부부가구(86.6%)가, 소형주택 보유자(25.1%)보다는 무주택자(74.9%)가, 상용근로자(35.2%)보다는 일용근로자(62.2%)가 압도적으로 많다. 근무업종은 사업·서비스(20.4%), 제조(18.6%), 건설(19.3%) 순이다. 부양자녀는 1명이거나 없는 가구가 60.5%였다. 신규 수급자가 56.6%에 달했지만 4년 연속 수급자는 11.6%에 그쳤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