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과 구미시를 통합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주장은 내년 총선과 대선이 실시되는 시점을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선거에 미칠 영향 또한 주목받고 있다.
칠곡군 구미시 통합 추진위원회(이하 칠곡.구미통추위)는 ‘칠곡군ㆍ구미시 통합서명에 즈음하여’라는 성명서를 내고 이번주부터 구미시와 인접해 있는 석적읍과 북삼읍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주민 서명운동에 들어간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칠곡ㆍ구미통추위는 두 도시의 통합 이유로 구미시의 소득이 칠곡군 보다 3배 가량 높고, 국가 산업단지를 칠곡군에 유치할 수 있으며 칠곡군의 도시 계획 개편 명분 제공, 대중교통 일원화, 교육.문화.체육.복지시설의 질적 향상 가능 등을 장점으로 들었다.
하지만 집값 상승에 따른 서민의 내집마련 어려움과 협오시설 유입, 칠곡군의 역사와 전통성 희석 등을 단점으로 꼽았다.
실제 통합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숙제가 적지 않다.
먼저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상 통합기준인 1차적 요건이 군 지역은 인구가 3만2천명 이하, 2차적 요건은 군 면적이 62.46㎢이하인 지역이 대상이다.
칠곡군의 경우 지난 9월말 현재 인구 12만2천여명에 면적은 450.96㎢에 달해 통합기준인 두가지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요건들이 통합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시ㆍ군ㆍ구의 인구, 지리적여건, 생확권ㆍ경제권ㆍ발전가능성, 지역의특수성, 역사적ㆍ문화적 동질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합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통합을 지원한다’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5조(시ㆍ군ㆍ구의 개편) 조항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
또 통합대상 도시인 구미시의 의중 또한 확실하지 않아 칠곡군만의 꿈이 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통합을 위한 법률적 문제가 해결 된다 하더라도 귀 생활권인 북삼ㆍ석적읍을 제외한 지역 주민 상당수가 통합에 부정적이라는 분석도 있어 자칫 주민갈등을 부추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내년 총선출마가 예상되는 박중보 저 경북도의원이 최근 시.군 통합을 공약으로 내 놓은 상태여서 내년 총선에서 이 문제가 지역 최대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조기석 칠곡군의원(석적읍)은 "수 십년동안 경제적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칠곡군을 새롭게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최대 공단 도시인 인근 구미시와 통합을 이뤄 새로운 칠곡을 만들어 나가야한다”며 통합의 당위성을 밝혔다.
전차진기자
jeoncj@gsmnews.co.kr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