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총장 서길수)가 추진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발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영남대 링크플러스(LINC+)사업단이 지난해 9월 대구 수성구청과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사업으로 마을꾸미기와 도시재생,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 등이 지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번 사업은 사업단 내 지역사회혁신부를 신설하고, ‘수성구 더불어 행복한 도시재생지원센터’와 함께 학생들의 지역사회 현장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행했다.또한 지난해 9월~12월까지 약 4개월간 영남대 사회학과 학생 22명이 참여했으며 학생들은 수성구의 도시재생사업지인 범어2동, 만촌2동, 두산동, 상동 곳곳을 직접 발로 뛰며 도시재생을 위한 아이템을 발굴했다. 특히 영남대 사회학과 학생들은 ▲블로그를 활용한 마을신문 제작 ▲쓰레기 불법투기 지역 ‘전봇대 벽화 및 양심화단’ 설치 ▲마을지도 및 관광프로그램 개발 ▲마을 스토리 발굴 및 스토리북 제작 등 4개의 주제를 정해 4개월간 조별 프로젝트를 추진했다.아울러 학생들은 마을의 각종 행사와 주민역량강화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해 현장의 생생한 분위기를 담은 블로그 마을신문을 만들고, 학생들이 직접 마을 주민들을 찾아가 인터뷰해 마을 스토리북을 제작했다. 또한 학생들은 대표적인 도시 문제 중 하나인 쓰레기 투기와 관련해 쓰레기가 자주 투기되는 전봇대 밑이나 헌옷수거함 옆에 전봇대 벽화와 양심화단을 조성해 주민들의 양심적 쓰레기 배출을 유도해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를 했다.한편, 이번 영남대의 산학협력 사업에 대한 결과 발표 세미나가 9일 수성구 더불어 행복한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다.[경상매일신문=조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