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하에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하는 `2018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의 공모사업을 신청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지난 9월 1차 공모에 선정된 데 이어 지난 26일자로 2차 공모도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 8개 읍면 34개 리에 총 554개소를 대상으로 총사업비 92억 원 규모로 57억 원의 국・도비를 지원받아 정부의 탈원전 시책에 발 맞춰 친환경에너지 자립도시 구축으로 행복건강도시를 만들고자 클린에너지 도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사업을 추진한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공공시설·주택·상업(산업) 건물 등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2종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원 융·복합시설 설치로 전기와 열을 생산, 해당 건물의 냉난방용, 온수용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개인별 자부담은 설치비의 10%로 태양광의 경우 총 설치비 약 950만 원 중 95만 원 정도 부담하면 된다. 월 400kw전기를 사용하는 주택 기준으로 월 5만4천120원의 전기요금이 절감돼 2년 이내 자부담 비용을 회수하고 설비의 수명이 끝날 때까지 1천300만 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어 시 관계자는 본 사업을 통해 총 175억 원 정도의 에너지 비용이 절감된다고 했다.
이번 공모사업(2차)은 전국 46개 지자체 컨소시엄이 사업을 신청해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관리공단)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격한 공개평가와 현장평가 확인을 거쳐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은 35개 지자체 컨소시엄이 선정됐으며, 이 중 경산시는 지자체별 사업비 기준 전국 2위로 최종 선정됐다.
한편, 사업은 내년도 1월부터 공공기관, 단독주택, 사회복지시설 등 554개소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시설 설치를 총사업비 92억 원으로 11월 말 완료를 목표로 사업시행 한다.
최영조 경산시장은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을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농촌지역과 저소득층을 위해 지원하고 에너지 복지실현을 위해 본 사업과 그린홈 100만 호 보급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클린에너지 자립도시 구현으로 행복건강도시건설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하는 희망경산’을 위한 경산발전 10대전략 추진에 발맞춰 나아가겠다”고 밝혔다.[경상매일신문=조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