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항이 3년 만에 물동량 증가세를 보였다. 포항 영일만항은 지난 2009년 개항이후 최대 14만TEU까지 처리했으나 국제적 해운경기 불황과 러시아 경기 악화로 지난해 9만TEU까지 줄었다.이에 포항시는 베트남·태국 신규항로개설, 인센티브지원 확대, 컨테이너부두 펜더 보강, 동북아CEO국제협력포럼 개최 국제물류센터 건립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해 온 결과 2014년 이후 3년 만에 물동량이 증가세로 돌아서 전년 대비 15% 증가한 10만5천TEU를 처리하는 등 큰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지난 3월 베트남·태국항로 신규개설로 발전용 우드펠릿 6천TEU 신규 유치와 포스코, 세아제강, 포스코엠텍 등 포항지역 기업 물동량 6만3천TEU를 확대 유치한 결과로 보이며 내년에는 냉동·냉장화물 신규유치, 철강 화물 확대로 13만TEU를 처리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항만배후단지 내 물류창고(엘리온종합물류)가 준돼어 운영 중이고 민간자본 150억원이 투입 된 국제 냉동·냉장물류센터가 내년 2월 준공 예정으로 연 7천200TEU를 처리할 계획이다. 국제 냉동·냉장물류센터의 건설로 건화물(Dry cargo)만이 아닌 농축산물과 같은 냉동·냉장화물의 처리도 가능해진다.지난 11월에는 영일만항에 7만5천톤급 크루즈가 접안할 수 있는 국제여객부두 건설을 시작했으며 여객부두는 총 454억원이 투입돼 부두길이 310m 규모로 건설되며 오는 2020년 준공될 예정이다.이강덕 포항시장은 "동북아 정세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지만 북방경제의 물꼬가 트이면 환동해권에서 대한민국이 중심이 되고 또 그 중심에는 영일만항이 있을 것"이라며 "정부가 공 들이고 있는 러시아와 북방외교의 최적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영일만항 인입철도사업을 2018년 내 완료하고 국제냉동·냉장물류센터를 활용한 환동해 콜드체인 특화항만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오는 15일 포항영일신항만(주)에서 중국 및 국내외 화주, 선사, 포워더 50여명을 대상으로 내년 2월 준공예정인 포항국제물류센터 냉동창고의 사업계획과 포항시 지원정책을 홍보하는 설명회를 연다. [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