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에 푸른 도시 녹화사업의 바람이 불고 있다.경산시가 공립수목원 등 2018년도 예산안에 도시녹화 사업 예산을 대거 편성한다.시는 오는 2018년 예산안에서 숲과 공원 녹지 관련 예산으로 200여억 원을 편성하고 공립수목원, 치유의 숲, 상방공원(센트럴 파크) 등의 사업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새로운 정책 방향을 설정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시대를 눈앞에 두고 늘어나는 휴양·건강 및 여가 수요에 착안해 푸른 도시 인프라를 선도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구체화한 것이다.
특히 경산공립수목원에 대한 초기 예산을 편성함으로서 전국적으로 산림청에 등록된 50여 개소가 운영 중이며 영남권에는 대구와 포항 등 두 곳뿐이다.
수목원은 수목유전자원의 수집·증식·보전·관리 및 자원화를 위한 연구 기능과 시민에게 자연학습장 및 휴양 산림문화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인구 30만 내외 당 1개소의 수목원을 보유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는 110만 명 당 1개소로 매우 낮은 수준에 있어 공립수목원 사업은 경북 3대 도시 경산의 인구 40만 전략을 뒷받침할 또 하나의 선도 사업이다.또한 치유의 숲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산림으로서 전국에 13곳뿐인 고차원의 복지 인프라이며 현재 타당성 조사용역 중이다.
경산시 상방동 등 일대 64만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개발키 위해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 협상대상자 공모가 현재 진행 중이며 가로수 식재와 도시공원 조성 등 여러 가지 도시숲 관련 예산도 상당액 편성됐다.
도시숲은 주민의 보건휴양·정서함양 및 체험활동을 위해 조성·관리하는 공원, 학교숲, 산림공원, 가로수 등을 말하며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전체 인구의 약 90%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나 생활권 주변에서 누릴 수 있는 도시숲은 선진국 도시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대구시의 사례로 볼때 1994년 40도를 넘는 날이 거듭되자 대구시는 7천억 원을 들여 나무 2천300만 그루를 심는 대형 프로젝트를 시작해 그 결과 대구기상청은 2000년대 이후 대구의 여름 최고기온이 이전 30년보다 평균 1.2도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4만 그루를 심은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과 쓰레기 매립장 24만㎡ 위에 8만 그루를 심은 대구수목원은 대구시 나무심기 사업의 핵심이다. 한편 경산시는 계정숲 생태복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계정숲과 자인단오제 문화유산 보전정비사업’을 추진과 남산면 남곡리 15ha에 생태공원 에코토피아를 조성 중이며 갓바위 등산로 아래 2만2천 규모의 야영장을 설치하는 ‘팔공산 에코파크 조성사업’도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용역 중이라고 밝혔다.[경상매일신문=조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