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포항지역 지진피해로 ‘사용제한’ 87곳과 ‘위험’ 판정을 받은 56곳의 다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 등 건물 일부가 28일 정밀 검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주 정부와 포항시가 합동으로 피해 주택 1천579곳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벌인 결과이며, 사용 가능한 건물은 1천400곳으로 조사됐다. 36곳의 건물은 주소지 오류나 변경 등으로 점검에서 빠졌다. 특히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건물은 무너질 우려가 커 철거하기로 했으며, 경림 소망뉴타운은 붕괴 우려가 있어 `위험` 판정을 하고 전체 90가구를 이주 대상에 포함해 정밀 점검을 벌이고 있다.포항지역 지진피해를 입은 건물에 대한 정밀점검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업체 선정의 계약절차를 수의 계약으로 선정할 예정이며, 비용은 20여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또 정부는 포항시와 협의해 이미 지원한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80억 원을 활용한다.특히 장기 이주를 희망하는 대성아파트와 대동빌라 등 251가구 중 103가구가 27일까지 LH 임대주택 등에 입주했다.정부는 이재민을 위한 전세임대 물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고, 원하는 경우 조립식 주택도 제공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초기 지진 발생 시 대피할 곳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에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에 지진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기로 했다.한편 정부는 다음 달 1일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 현상`과 관련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일주일 후에는 지금까지의 대책과 앞으로의 복구 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경상매일신문=정승호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