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포항지진 발생이후 피해가 나날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복구가 장기화 될 것으로 보여 예산 확보와 이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포항지진 발생 12일째인 26일 주택피해 신고가 2만 여건을 훨씬 넘어서고, 상가, 공장 등 피해도 나날이 급증하는 추세다.이날 포항시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주택피해 신고는 2만9747건에 달했으며 상가 1910곳과 공장 153곳 등이 피해를 입었다. 특히 포항시에 위치한 대성아파트와 대동빌라, 원룸 1개동, 한동맨션, 로뎀나무상담소, 그린·상록·푸른빛 빌라 등 6곳은 피해가 심각해 현재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학교 110곳이 파손됐으며 면사무소와 공공건물도 126곳이 피해를 입었다. 부상자는 77명이며 중상 4명, 경상 73명으로 집계됐다. 이재민 1283명은 흥해 실내체육관, 흥해공고, 기쁨의 교회, 포스코 수련관, 등 12곳에 일시 대피 중이다.정부는 이재민들을 위해 사생활 보호용 칸막이와 텐트를 설치했다. 또 LH가 보유중인 국민임대주택 160세대 외에도 50세대를 추가로 확보해 대동빌라 주민 67명(22세대)을 우선 입주했다. 대성아파트 23세대도 주말 모두 입주 완료했다.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시설물 3만 151곳 중 2만 8143곳에 대해서는 응급복구가 완료됐다. 응급복구에는 5만 9372명의 인력과 장비 453대가 투입 중이다. 하지만 실제 피해는 나날이 눈덩이 처 럼 급증하고 복구지원비도 현실성이 없어 피해복구는 장기화될 것으로 보여 진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도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지진으로 더욱더 어려움을 겪고 지역 브랜드 가치도 추락하고 있다. 지난 20일 문 대통령이특별 재난 지역으로 선포는 했지만 실질적인 지원은 시간이 좀 더 경과될 것으로 보여 복구 지원 자금 조기집행 등 지자체·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포항 지진 발생 9일째인 지난 24일 현지를 찾아 지진피해를 입은 이재민들과 고3수험생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진 피해를 당한 아파트를 살펴보고, 주민들이 대피해 있는 체육관을 찾아 현장의 애로사항을 직접 들으며 정부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 자리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진 피해 현장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피해복구와 이재민 주거안정, 포항경제 살리기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건의했다.이 시장은 가장 시급한 것은 이재민 주거안정 대책으로 이재민이 입주하는 LH 임대주택 등 보증금을 면제해 주고 임대 기간도 6개월에서 2년으로 연장해 달라고 강력하게 건의하고,피해가 복구된다고 해도 북구 구도심권 공동화가 우려돼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완화하고 도시재생을 위한 특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진 이후 상권 매출이 70∼80% 급감하고 기업 피해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 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을 살리려면 정부 차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와 관련 자유한국당 포항시 북구 김정재 의원은 지난 24일 국회 본회의 자유발언을 통해 "올해보다 500억원이 줄어든 3100억 규모의 지진 방재 예산은 전체 정부 예산이 425조원인 걸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며 "게다가 경주 지진 이후 44건의 관련 법안이 발의됐지만 처리된 거는 고작 5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이어 "포항의 경기가 침체하고 있다. 자연 재해가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2차 피해가 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자유한국당 포항남·울릉 박명재 의원도 “현재 심의중인 내년 예산안에 지진관련 예산이 획기적으로 증액되어야한다”며 “지진기금 특별회계와 같은 제도가 반드시 도입 되어야한다고 덧 붙였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