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지진피해를 입은 포항시에 대한 신속한 복구지원을 위해 당정청이 힘을 모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21일 당정청은 포항 지진 이재민들이 현재까지 확보된 주택 167곳에 즉시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거 지원 대책을 신속하게 실행하고 대피소에 칸막이를 설치하는 등 이재민들의 불편·애로 사항을 현장에서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또한 내년도 예산에 포항 지진 피해 복구, 내진 설계 보강, 활성단층 조사 등 지진 관련 예산을 충분히 반영하기로 했다.특히 현재까지 확보된 주택 167가구에 이재민들이 즉시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거 신속 지원 대책 또한 마련했다. 부족한 주택은 추가로 확보해 이재민들의 불편을 조속히 해소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재 국회에 제출된 2018년 예산에서 지진 관련 예산을 더욱 보강하면서 이 중 학교 내진 보강 예산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지진 관련 법률 개정안 역시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이 자리에서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포항 지진 여파로 피해주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며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정부가 포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지만 시급한 수습 대책과 더불어 근본적으로 재난에 대응해야 한다"며 “활성단층에 대한 조속한 조사도 빠른시일내 이뤄져야할 것이다”고 촉구했다.이와 관련 지진으로 졸지에 삶의 터전을 잃은 포항 시민들에게 전국 각지에서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포항시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진 발생 6일째인 지난 20일까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기업, 단체, 개인 등 1만 3,326곳에서 81억9400만원의 성금을 보냈으며 72억원을 내겠다고 약정했다.한편 포항시는 지난 20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포항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함으로서 응급 대책 및 재해 복구에 필요한 행정, 재정, 금융, 세제 등 특별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21일 밝혔다.이에 따라 직접적인 지원혜택으로는 지방공공 시설물은 피해액 중 64.4%의 국비지원과 응급복구에 따른 자재 및 장비비의 50%을 국비로 지원받고, 사유시설에 지진피해 보조금(전파 900만원, 반파 450만원, 소파 100만원)을 포함해 지급된다. 아울러 전국 각 처의 성금 총 모금액은 전국재해 구호협회 배분위원회 심의를 거쳐 의연금을 지진피해 주민에게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간접적인 지원혜택으로는 지진피해 대상 주민에게는 국세납부 유예 최장 9개월 연장과 지방세 최장 6개월 납부 연장, 주택 전파로 대체주택 취득 시 취·등록세 면제, 건강보험료 3개월분 30∼50% 경감, 국민연금 최장 12개월 연금보험료 납부면제, 전기료 1개월분 50% 감면, 통신요금 최대 1만2,500원 감면, 주택복구 융자금 3년 거치 17년 분할 상환 연리 1.5%, 중소기업 소상공인 복구 융자금 2년거치 3년 분할상환 이율 1.9%, 도시가스 요금은 1만 2,400원 감면, 상·하수도 요금 평균사용량의 초과분, 지적측량비 50% 감면 등으로 일반 재난 국비지원율 보다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함으로 국비지원율이 17%정도 추가 지원 혜택을 받게 된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