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사각지대를 지키는 문화재 119 역할과 경미한 수리를 즉시 실시해 더 큰 피해를 막자는 취지로 출범한 문화재돌봄사업단이 15일 지진 발생으로 인해 훼손된 문화재 실태파악과 복구작업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특히 지진 진앙지와 가까우면서 문화재가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경주에서는 신라문화원문화재돌봄사업단(단장 진병길)이 지진 발생 즉시 비상대책본부를 꾸려 특히 지진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11개 긴급모니터링 팀을 투입해 일몰 전까지 긴박하게 현황파악을 실시해 문화재청 및 관계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알려 대책마련을 용이케 했다.긴급모니터링 팀은 포항, 경주, 영덕, 영천, 청도 등 경북남부권역 관리대상 100여 곳 문화재에 대해 긴급모니터링을 해 양동마을 무첨당, 흥해향교, 청하향교 등 문화재 피해상황을 신속히 점검했다.점검결과를 토대로 16일 새벽부터 각 팀 4~5명으로 구성된 5개 긴급보수 팀을 가동해 포항과 경주 양동마을 등지로 급파해 피해지역 정리 및 경미한 수리작업과 여진에 따른 추가 피해 방지작업에 매진하고 있다.아울러 7개 긴급모니터링 팀을 새로 구성해 어제 일몰로 조사하지 못한 문화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진병길 단장은 “문화재는 빠르게 복구하는 것이 피해도 줄이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며 “이런 역할에 전국의 문화재돌봄사업단이 첨병역할을 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 각 지역 광역지자체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전국 15개 문화재돌봄사업단은 지난해 9월 12일 발생된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경주지역에 와공기능자, 준기능자 조공 등을 파견해 담장과 지붕기와 깨어진 곳, 건조물 지붕마루기와의 응급조치 및 긴급복구를 진행했고 KT&G에서 지진복구를 위해 기탁한 성금 5억원 중 2억3천만원을 사용해 전국 15개 문화재돌봄사업단 50여명과 50사단 군 장병 40여명을 매주 4박5일 동안 총 6주에 걸쳐 연인원 1천500여명이 참여해 한옥기와 보수작업을 마무리 한 바 있다. [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