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최근 ‘생리 용품’, ‘점퍼 · 재킷류’ 관련 상담이 증가되고 있다고 밝혔다.지난 9월 ‘1372 소비자상담센터’ 소비자상담은 6만 7,301건으로 전년동월(61,644건)대비 9.2%(5,657건) 증가, 전월(74,912건)대비 10.2%(7,611건) 감소했다.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해 상담을 수행하고 있다.전년동월대비증가율 상위 품목은 ‘생리용품’(5,766.7%), ‘스포츠시설이용’(57.5%), ‘호텔’(57.5%), ‘모바일게임서비스’(50.3%), ‘전기진공청소기’(47.8%)등의 순이며, 전월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점퍼·재킷류’ (41.4%), ‘침대’(35.6%), ‘피부과’(22.9%), ‘예식서비스’(19.2%), ‘생리용품’(17.1%)등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생리용품 위해성관련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생리용품’ 상담은 전년동월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여행과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트렌드에 따라 ‘스포츠시설이용’, ‘호텔’의 증가율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을철을 맞아 ‘점퍼·재킷류’, ‘예식서비스’, ‘침대’ 등의 상담이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상담이 많은 품목은 ‘휴대폰·스마트폰’(2,342건), ‘이동전화서비스’(1,969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591건), ‘국외여행’(1,247건), ‘초고속인터넷’(1,209건) 등 순이다.소비자의 연령대 확인이 가능한 6만 1,810건 중 10대 이하는 휴대폰·스마트폰, 20대는 헬스장·휘트니스센터, 30대·40대·50대는 휴대폰·스마트폰, 60대 이상은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0대’가 2만 0,041건(32.4%)으로 가장 많고, ‘40대’(1만6,537건, 26.8%), ‘50대’(1만1,164건, 18.1%), ‘20대’(8,026건, 13.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