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학교(총장 홍덕률)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반대학원에 ‘장애학과(Department of Disability Studies)’를 신설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신설학과는 대학원에 장애학과를 설치한 곳은 아직까지 없으며 내달 1일부터 10일까지 신입생을 모집해 2018년 3월 처음 문을 연다.또한 ‘장애학’은 장애를 개인의 결함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장애를 규정하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인 등을 탐구하며 장애인의 적극적인 사회적 참여를 중시하는 다학제적 학문이다. 이 학문은 지난 30여 년간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장애인 권리 운동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장애와 환경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장애인의 시민권을 증진시키기 위한 진보적인 관점에서 연구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 특수교육, 재활과학 등과는 차이가 있다.교육과정은 장애학 개론에서부터 장애인 인권, 장애인 정책과 법률, 장애와 문화·예술, 장애학과 교육, 발달장애인의 권리와 지원, 장애와 종교 등 15개 이상의 과목들로 편성되며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장애학석사(Master of Disability Studies) 학위가 주어지며 장애학생들에게는 학기당 최대 70만 원까지 장학금이 지원된다.대구대 특성화 분야인 특수교육·재활과학·사회복지 분야와의 공동 연구는 물론 국내 정기 세미나와 해외 장애학과 및 연구센터와의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장애학의 세계적 흐름을 한국에 접목하고, 향후 박사과정 설치까지 추진할 예정이다.또한, 시각장애인이면서 미국 미시건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장애인 재활과 장애학 분야를 전공하고, 장애인 고용과 장애의 심리사회적 측면 관련 연구를 이어가며 장애인 인권 신장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조성재 직업재활학과 교수, 대표적 장애학 도서인 로즈메리 갈런드 톰슨의 ‘보통이 아닌 몸: 미국 문화에서 장애는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직접 번역하며 지체장애인으로서 장애학 분야의 연구를 해 온 손홍일 영어영문학과 교수, 장애학과 특수교육 분야의 접점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김성애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김건희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강종구 초등특수교육과 교수 등이 교수진으로 참여한다. 조한진 교수는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 장애인운동의 역동적 성장과 함께 장애학 담론이 국내에 조금씩 소개돼 왔지만, 아직까지 장애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관련 연구자를 양성하는 곳은 없는 실정이다”면서 “특수교육·재활과학·사회복지 분야 특성화 대학인 대구대가 장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발굴하여 이를 교육하는 과정을 개설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한국의 장애학을 선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경상매일신문=조영준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