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이 텁텁하고 건조해서 양치질을 여러 번 해본 경험을 한번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양치 후 에도 입안이 상쾌하지 않고 건조하면서 개운하지 않은 느낌.날씨가 건조해지는 계절에 심해지는 비염이나 감기로 인하여 입으로 숨을 쉴 때의 그 건조하고 답답한 느낌 . 구강의 건조함은 답답함뿐만 아니라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타인에게 보여지는 이미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질환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데, 여러 구강질환 중에서 입안의 침 분비량이 줄어서 나타나는 구강건조증에 대해서 알아보자.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침이 더 적게 분비되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됩니다. 구강건조증은 구취뿐 아니라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 삼키기가 불편하고, 말하기도 어렵게 하며 치아우식증 및(충치), 풍치를 유발 심화시키기도 한다.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본 적 있는 구강 건조 증상생활속 습관을 바꾸고 구강체조로 개선해보자.첫째, 물을 수시로 자주 마셔주기.일정량을 한번 에 마시지 말고 조금씩 자주 마셔서 입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둘째, 양치질 후 입안을 여러 번 충분히 헹구기.양치질 후 구강점막에 남아있는 치약은 구강 점막내 수분을 빼앗아가 건조함을 유발하므로 충분히 헹구어야 한다.구강건조를 자주 느끼는 경우, 계면활성제가 없는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글 용액도 무알콜의 가글 용액 사용을 하는 것이 좋다.셋째. 무카페인 음료 마시기. 무가당 음료 마시기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녹차를 마신 후 에는 물로 입안을 헹구어주는 것이 좋다.넷째, 무설탕껌 이나 신과일을 섭취하기 무설탕껌이나 신과일은 침샘을 자극해 침분비를 도와주어야한다.다섯째, 술과 담배 줄이기.여섯 번째, 입체조하기구강체조는 구강내 침샘을 자극해서 침분비를 도와준다.구강체조는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주세요.일곱 번째, 다양한 구강건조 증상을 줄여주는 약품이용하기.침 분비량을 늘려주는 약을 복용할 수 도 있으며 인공타액이나 젤이나 스프레이 형태의 구강용품으로 구강 내 촉촉함을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생활 속 습관을 바꾸고 구강체조로 항상 상쾌한 느낌으로 하루를 활기차게 생활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