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5일 세종 시에서 에서 드론 시범 배송 행사를 갖고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이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가 추진해온 ‘드론 기반 물품 배송 시스템 구축 사업(2016.5월~2017.4월)의 후속 조치로써, 물품 배송용 드론의 성능을 점검하는 한편, 모의 택배물을 도심지 내에서 시범 배송해봄으로써 앞으로 도심지내에서의 배송 시스템 구축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서다.산업부는 그동안 ‘드론 기반 물품 배송 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드론 배송에 대한 기술성·안전성·현장 적용 가능성 등을 점검해 왔다. 이에 따라 기존 드론 시스템을 개조해 드론 기반 물품 배송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축 → 시험·시범운영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평가 → 기술적·시스템·제도적 문제점들을 보완한 후 실용화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기존 드론을 개조해 물품 배송용 드론을 제작해, 우정사업본부의 우편 배송 시스템과 연계한 드론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도서(전남 고흥), 산간(강원 영월) 지역 2곳에서 모의 우편물을 배송하는 시험 운영기간(4월~8월)을 거쳤다. 특히, 이번에 제작한 드론은 수동 원격 조종이 아닌 좌표만 입력하면 이륙→비행→배송→귀환까지의 배송 전 과정을 완전 자동으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진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또한, 올해 11월중에는 약 1주일간 우정사업본부 주관으로 도서 지역에서 모의 우편물이 아닌 실제 우편·택배물의 드론 배송을 시범 실시해 도서·산간 지역 드론 배송 서비스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현재 아마존 등 글로벌 유통·물류기업은 인공지능·로봇·증강현실·가상현실(AR/VR)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도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가운데, 물류 서비스 혁신을 위해 드론 배송 상용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경상매일신문=이율동기자]